① 1944년 4월 러시아를 완전히 탈환한 소련군은 독일 베를린을 향한 최후 공세를 앞두고 있었다. 이오시프 스탈린(1879∼1953)이 지정한 베를린 함락일은 4월 22일이었다. 그날이 사회주의 혁명가 블라디미르 레닌(1870∼1924)의 탄생일이었기 때문이다.
② 이것도 아이러니인데, 1차 세계대전 때 레닌이 러시아 모스크바에 갈 수 있었던 건 독일이 호의를 베풀었던 덕분이었다. 독일은 레닌이 러시아 왕정을 전복시키면 동부전선에서 러시아의 압력을 해소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했다. 레닌은 혁명에 성공했고, 독일의 은혜를 갚는다기보다는 러시아 혁명에 몰두하기 위해 전쟁을 중단했다.
③ 레닌의 탄생일이 아돌프 히틀러의 사망일이 되는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애초에 무리한 명령이어서 소련군은 그날까지 베를린을 함락하지 못했다. 덕분에 히틀러는 열흘을 더 살았고, 베를린은 3일을 더 버텼다.
④ 이 최후의 기간에도 히틀러의 측근들은 상황을 인지하지 못했다. 전선에서 오는 보고는 허위보고이며, 독일은 적을 격퇴할 능력이 있다고 믿었다. 히틀러 최후의 라디오 연설에 전 국민은 눈을 돌렸는데, 나치 독일의 선전장관인 요제프 괴벨스는 천 년에 한 번 나올 영웅이라고 일기에 적었다. 이건 양반이고 측근들은 마지막까지 히틀러 후계 자리를 두고 권력다툼에 여념이 없었다. 오히려 히틀러가 이들보다 먼저 자신의 실패를 예감했다.
⑤ 그러나 히틀러의 마지막 생각은 한심한 측근들보다 더 무서웠다. 자신이 곧 독일이며, 자신이 죽는다면 독일도 함께 영광스러운 최후를 맞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모든 것을 파괴하고 모두 함께 싸우다가 죽어라. 권력은 사람을 바보, 미치광이로 만든다. 히틀러와 측근들에게만 해당하는 이야기가 아니다.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후보들 다 합쳐도 27~36%, 국힘이 되레 박스권 갇혔다 (0) | 2025.04.30 |
---|---|
수수료 낮춰 거래 늘린다, 슈와브 (0) | 2025.04.30 |
금융사 "임직원 점심시간 1시간 지켜라" (0) | 2025.04.29 |
"트럼프 관세폭탄, AI붐에 상당한 타격 우려" (2) | 2025.04.29 |
"챗GPT와 대화때 쓰는 습관적인 표현 때문에 전력 비용이 수백억원"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