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테슬라 32

테슬라 웨이

① 전기차 산업의 아이콘인 테슬라 CEO(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는 지난달 1분기(1~3월) 실적을 발표하며 “테슬라 주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면 우리 자율 주행 서비스를 써보길 권한다”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우리 회사를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② 테슬라는 전기차 생산이나 충전 인프라 구축, 새로운 공장 건설, 생산 기술 개발 등 전기차의 ‘몸’에 해당하는 하드웨어(HW) 관련 부분은 줄줄이 구조조정 대상에 올렸다. 대신 전기차의 ‘두뇌’에 해당하는 SW(소프트웨어)를 한층 강조하는 전략을 내세웠다.  ③ 머스크의 말처럼 AI(인공지능) 기술이 강조된 자율주행 서비스를 내세우는 게 대표적이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다른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추격이 시작되자 테슬라는 ‘IT 기술이 있는 전기차 회사’가..

빠른 물고기가 느린 물고기 잡아먹는 시대

① 지난주 고전하던 테슬라 주가가 하루 만에 15% 급등한 적 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가 중국을 깜짝 방문했다는 소식 때문이었다. 중국 정부는 테슬라가 완전자율주행(Full Self-Driving·FSD)이라 부르는 자율주행 기능을 중국에서 출시할 수 있도록 규제를 풀었다. ② 자율주행 기술 강자인 테슬라에 중국 시장이 필요한 건 당연하다. 그런데 중국 정부는 왜 테슬라에 선선히 자기네 시장을 내주려 할까. 테슬라라는 대형 메기를 연못에 던져서 다른 물고기들(중국 전기차 제조사)이 더 빨리 헤엄치게 만들려는 전략이다. ③ 당시 중국은 양적으론 이미 세계 최대 전기차 시장으로 성장해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세계 시장에서 중국산 전기차는 ‘짝퉁’ 이미지를 벗지 못했다. 그 시점에 정부가 대형 메기 테슬..

전기 먹는 하마 AI 전력 확보 경쟁

① 인공지능(AI) 개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빅테크들이 에너지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AI 및 데이터센터 구동 과정에 전력이 많이 소비돼 전력망에 부담을 주기 때문이다. 특히 친환경 흐름에 맞춰 재생에너지 생산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② 빅테크 및 창업자들이 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주목하는 기술 중 하나는 핵융합이다. 핵융합은 화석연료를 대체하는 청정에너지로 인식돼 왔다.  ③ 전기 부족이 AI 개발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면서 에너지 확보를 위한 빅테크들의 노력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④ AI를 안정적으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에너지원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개발도 진행돼야 하지만 저전력으로 가동할 수 있는 칩이나 하드웨어도 만들어야 한다” ⑤ 테슬라는 AI, 전기차, 솔라시티,..

흔들리는 테크업계의 제왕 입지

① 전기차 시대를 본격적으로 연 테슬라, 민간 우주 시대를 연 ‘스페이스X’, 사람 뇌에 컴퓨터 칩을 이식하는 ‘뉴럴링크’, 진공 터널에서 시속 1000km 이상으로 달리는 총알 열차 하이퍼 루프를 개발하는 ‘보링 컴퍼니’. 인류의 꿈을 현실로 바꾸며 지난 10년간 글로벌 테크 업계를 이끌어 온 일론 머스크(53)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② 스스로를 ‘테크노 킹’이라고 부르며 테크 업계의 제왕으로 군림했지만, 실리콘밸리에선 머스크가 현재 상황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큰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③ 테슬라는 전기차 시장 경쟁 심화로 고전하고 있다.  ④ 2022년 10월 인수한 X는 골칫거리다. 지난해 머스크의 ‘반유대주의’ 발언 논란 이후 광고 매출이 뚝 떨어..

미성년자 보유주 1위는 삼성전자!

① 지난달 29일 NH투자증권이 자사 고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미성년자 보유 주식 중 국내 주식 1위는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미성년자 보유 주식이란, 대부분 부모가 자녀에게 선물한 것으로 장기 보유해도 가치가 하락하지 않고 우상향할 수 있는 종목들이 꼽힌다. 당장의 시세 차익을 내기보다 장기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 주식이라고 보는 것이다. ② 이어 2위는 카카오, 3위 삼성전자 우선주, 4위 네이버, 5위 현대차 순이었다. ③ 미성년자가 보유한 해외 주식 1위는 미국의 대표적인 빅테크 기업 ‘애플’이었다. 애플은 20~30대에서도 1위를 차지했지만, 40대 이상에선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1위를 차지했다. 자녀에게 애플을 더 많이 사준 걸 보면, 테슬라보다 애플이 더 장기 보유하기 좋은 주..

테슬라와 엔비디아, 거품과 열풍 사이

① 요즘 미국 월가에선 전기차 회사 테슬라가 동네북 신세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테슬라는 서학개미(해외주식 투자자)의 희망이었다.  ② 실적은 살얼음판을 걷는 분위기였고 주가는 롤러코스터처럼 변동성이 심했는데도 적극적인 개인투자자 덕에 주가는 대체로 고공행진을 했다. 이를 두고 ‘포모(FOMO·Fear of Missing Out)’에 빠진 투자자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소외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개인투자자의 추격매수가 이어졌다는 진단이다. ③ 전기차에 관심이 많은 구매자의 수요가 한계에 이르면서 대기 수요가 줄어들고 있고, 높은 전기차 가격, 불완전한 충전 인프라, 고물가·고금리로 인한 소비심리 악화 등이 겹치면서 수요는 얼어붙고 있다. 이런 현상을 두고 ‘캐즘(Chasm)’이론으로 설명..

테슬라의 정체성?

① “테슬라를 단순한 ‘자동차 제조사’가 아니라 인공지능(AI) 로봇공학 회사로 보고 가치 평가를 해야 합니다.” ② AI 기술에 기반한 고도화된 FSD(Full Self-Driving·완전자율주행) 기술과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자율주행 택시(사이버 캡) 등으로의 진화가 테슬라의 목표란 뜻이다. ③ 테슬라의 매출 부진은 주력 상품인 전기차가 하이브리드차와의 경쟁에서 고전하고 있다는 점도 한몫했다. 주주 제공 자료에서 테슬라는 “많은 자동차 제조사들이 전기차보다는 하이브리드차 생산을 우선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판매가 압박을 받고 있다” ④ 세계 각지의 테슬라 차량을 통해 수집한 비디오 영상으로 AI를 학습시키면 정교한 자율주행이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머스크는 “레이더나 초음파 센서 없이 자율주..

피스커 상장폐지, 그 다음은 니콜라?!

① ‘테슬라 대항마’로 기대를 받으며 2020, 2021년 미국 증권시장에 상장한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상장 폐지 및 파산 위기에 내몰렸다.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현상), 저가 경쟁, 중국 업체의 부상 등 업계에 불어닥친 ‘삼중고’를 버텨내지 못하고 자금줄이 말라가는 것이다. ②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인 피스커는 25일(현지 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로부터 상장 폐지 통보를 받았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피스커가 파산 수순을 밟을 것이라고 보고 있다. 다음 상장 폐지 타순은 수소·전기 트럭 업체인 니콜라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③ 전기차 스타트업들이 일제히 경영난에 빠진 핵심 원인은 전기차 수요 둔화다. 이들 업체가 증시에 상장했을 때인 2020, 2021년만 해도 기대감이 들끓었지만 현재..

테슬라 차값은 자연산 횟값

① “수입차업계에선 테슬라를 ‘자연산 회’라고 부릅니다. ‘시가’를 적용하는 회처럼 하도 자주 차값을 바꾸다 보니 이런 말이 나오는 거죠.”(한 수입차 딜러) ② 테슬라가 글로벌 시장에서 한 달 전 올린 차값을 다시 내려 빈축을 사고 있다. 가격을 올린 시점에 차량을 넘겨받은 고객들은 테슬라의 변덕에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③ 차값을 1만3000위안 올린 지 한 달도 안된 시점에 1만4000위안 내린 것이다. ④ 테슬라가 올린 차값을 다시 내린 건 그만큼 상황이 나빠졌기 때문이다. ⑤ 수입차업계에선 테슬라의 ‘고무줄 가격 정책’이 소비자 신뢰와 충성도를 떨어뜨릴 것이란 우려를 내놓고 있다.

틱톡샵 국내 상륙 초읽기

1. 틱톡샵 국내 상륙 초읽기 중국 소셜미디어 틱톡이 한국에서 대규모 인력 채용에 나서며 국내 유통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틱톡은 자사 글로벌 커리어 채널과 국내 인력 채용 업체를 통해 채용을 진행 중이다. 틱톡샵은 틱톡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다. 2. 머스크, X 신규 계정 유료화 고민 소셜미디어 엑스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부분 유료화를 도입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자신의 엑스 계정에 안타깝지만 신규 계정이 글을 쓰려고 할 때 소액의 요금을 내게 하는 것만이 악성 봇의 맹렬한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올렸다. 3. 3조 돌파한 다이소, 온오프라인 사업 강화 아성다이소가 매출 3조 원을 첫 돌파했다. 올해는 지난해 기준 전국 1519곳에 달하..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