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c커머스 4

성장세 꺾인 초저가 C커머스, 한숨만 쉬는쉬인

① 초저가를 앞세워 미국에서 돌풍을 일으키던 중국계 패스트패션 기업 쉬인이 위기에 봉착했다. 중국을 겨냥한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관세 규제로 직격탄을 맞아 수익성 및 유럽 상장 작업에 비상등이 켜졌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다른 C커머스와 달리 한국 시장에서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②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테무와의 경쟁이 치열해져 마케팅 비용 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③ 문제는 쉬인의 수익성이 더 나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 4일 중국산 제품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했다. ‘최소 기준 면제(de minimis)’까지 폐지하며 800달러 미만의 소액 수입품에도 세금을 내도록 했다.  ④ 그동안 ‘초고속 디자인’과 ‘초저가’를 무기 삼아 빠르게 성장해온 쉬인으로서는..

티메프 방지법 온도차

① 정부가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재발을 막겠다며 대규모유통업법 개정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중소기업계와 벤처 업계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중소기업계는 플랫폼의 공정성이 높아질 것이라며 환영하지만, 벤처 업계는 이커머스(전자상거래) 산업이 위축될 거라며 반대하고 있다.  ② 지난 18일 공정거래위원회는 구매 확정일로부터 20일 이내 정산, 판매 대금 50% 별도 관리 등의 내용을 담은 대규모유통업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지난 7월 티메프 미정산 사태에 따른 정부 대책이다. 적용 대상은 중개 매출 100억원 이상 또는 중개 규모 1000억원 이상의 플랫폼 사업자다.③ 공정위 관계자는 “규제 대상을 좁게 설정하면 주요 플랫폼이 제외돼 실효성이 떨어질 수 있단 점을 고려했다”라며 “재무 상황이 악화한 티몬과..

지난해부터 AI 이미지 이용한 가짜 정보 급증

1. 알·테·쉬 광고 두고 딜레마에 빠진 네이버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C커머스 광고를 두고 네이버가 딜레마에 빠졌다. 이들 광고를 받으면서 광고 매출은 늘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네이버 커머스 부문에 위협이 되기 때문이다. 지난 1분기 네이버쇼핑 거래액은 12조2000억 원으로 직전 분기보다 2000억 원 감소했다. 2. 건기식 업계...정기 구독·맞춤형 서비스 활발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성숙기로 접어들면서 기존 고객을 충성고객으로 전환하려는 노력이 활발하다. 개별인정형 원료로 기능성 제품을 선보이거나 정기 구독 서비스를 도입하고 맞춤형 영양제를 강화하는 등 차별화에 나섰다. 3. 지난해부터 AI 이미지 이용한 가짜 정보 급증구글과 듀크대 연구팀 등 논문에 따르면, 2023년 초부터 AI가 생성한 가짜..

C커머스 돌풍에 몸값 오른 판매자

1. C커머스 돌풍에 몸값 오른 판매자 한국과 중국 이커머스 싸움에 판매자 몸값이 상승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이커머스를 찾는 이유가 상품인 만큼 판매자가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K이커머스업계는 물류 종합 관리를 선언하거나 중소상공인 대상으로 매출 성장 설명회를 개최하고 나섰다. 2. 네이버, 블로그 모먼트·클립 통합해 숏폼 서비스 강화 네이버가 편집 및 탐색 기능이 고도화된 클립 에디터와 뷰어를 정식 출시하고 네이버 블로그의 숏폼 서비스 ‘모먼트’를 클립에 통합했다. 네이버는 정보 스티커 기능을 더 많은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대규모 챌린지를 진행하고 해당 기능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3. TV프로그램에 협찬주명 쓴다 기업 또는 제품명이 들어간 방송 프로그램 제목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가 협찬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