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티빙 8

OTT중계 "튀어야 산다"

① 세계 최대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업체인 넷플릭스가 올해부터 로를 독점 중계하기 시작하면서 생긴 변화들이다. 향후 10년간 중계권을 따낸 넷플릭스가 투자한 비용만 50억달러(약 7조2000억원)다. 미 잡지 버라이어티에 따르면, 통상 로 프로그램당 중계 인력은 120여 명인데, 이날 중계에는 200명 이상이 투입됐다.  ② OTT가 주도하는 스포츠 중계 차별화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다. OTT 업계가 구독자 확산을 위해 스포츠 시장 투자를 강화하면서 과거 지상파 TV나 스포츠 전문 채널에서 볼 수 없던 새로운 시도가 진행 중이다. 드론·보디캠 등 최신 촬영 기법이 적극 도입되고 다큐멘터리나 리뷰 프로그램 등 파생 콘텐츠도 활발하게 제작되면서 스포츠 팬들은 이전과 다른 화면, 경기 뒷이야기..

틱톡, AI로 내 목소리 입히는 기능 개발

1. 이커머스 1인당 거래액... 알리 3.3만 원, 쿠팡 14만 원 빠른 속도로 가입자를 늘리고 있는 C커머스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가 아직 1인당 거래액은 국내 업체들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분기 알리의 결제 추정액은 8196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164% 늘었다. 쿠팡, 지마켓, 11번가, 티몬 등에 이은 5위다. 2. OTT 줄인상 대열에 티빙도 합류 티빙이 다음 달 1일부터 연간 구독권 가격을 정가 기준 대비 20% 올린다. 오는 5월부터 연간 구독권 가격을 인상하면서 유튜브, 넷플릭스에 이어 가격 인상 대열에 합류하게 됐다. 최근 OTT들은 앞다투어 가격 인상에 나섰다. 유튜브 프리미엄은 43%, 디즈니플러스는 40% 올렸다. 3. 틱톡, AI로 내 목소리 입히는 기능 개발 틱톡에..

OTT 전성시대의 그림

① “여보, 아버님 댁에 OTT 깔아 드려야겠어요.” 조만간 이런 말이 유행할지도 모르겠다. 아버님 댁에 ‘보일러’를 놓아 드리는 대신 ‘OTT(over the top)’를 깔아 드려야 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말이다. ② 결론적으로 OTT란 셋톱박스(TV)에만 국한하지 않고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 여러가지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말한다. 주로 영화와 드라마 콘텐트를 제공하는 넷플릭스나 티빙, 애플TV,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쿠팡플러스 등이 모두 OTT 서비스다. ③ 그런데 최근엔 사정이 좀 달라졌다.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 티빙 등 OTT 서비스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이걸 깔지 않으면(이용하지 않으면) 일상 대화에도 끼기 어려운 지경이 됐다. 최근엔 극장 스..

구글, AI로 찍어낸 ‘자동화 콘텐츠’ 철퇴

1. 구글, AI로 찍어낸 ‘자동화 콘텐츠’ 철퇴 구글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품질 낮은 글을 대량으로 찍어내는 이른바 자동화 콘텐츠에 철퇴를 내리기로 했다. 일부 웹페이지 운영자가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대량으로 콘텐츠를 생산해, 구글 상단에 노출하는 전략을 펼쳤는데 제동이 걸린 것이다. 2. 네이버 클립, 두 달 만에 재생 3배 껑충 네이버의 숏폼 콘텐츠 '클립' 재생 수가 두 달 만에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이버는 올해 클립 크리에이터 지원을 강화하면서 본격적인 수익모델 발굴에 나선다. 또 클립을 쇼핑, 예약, 검색까지 한 번에 연결하는 차별화 서비스로 키운다. 3. OTT 프리미엄 이용자 60% 광고요금제 긍정적 넷플릭스에 이어 티빙까지 콘텐츠 시청 중 광고가 노출되는 광고요금제..

티빙 이용자 '나 홀로 증가'

① 토종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티빙이 되살아나고 있다. 지난해 12월 구독료를 20% 넘게 인상했음에도 지난달 월간활성이용자(MAU), 하루활성이용자(DAU) 등에서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국내에 서비스 중인 OTT를 통틀어 ‘나 홀로 상승세’다. ② 올 들어 다른 OTT업체 대부분은 이용자 지표가 나빠진 상황이다. ‘절대 강자’ 넷플릭스의 MAU는 지난해 12월 1306만 명 이후 하락하는 추세다. ③ 티빙이 나 홀로 상승세를 보인 배경엔 ‘실시간 TV 채널 무료 시청’ 서비스가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12월 구독료를 올리는 대신 로그인만 하면 CJ ENM, JTBC 등 TV 실시간 채널을 무료로 볼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자연스럽게 티빙을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전략이었다. ④ 작품성과 대..

역시 결국 마케팅 차이

1. 결국 마케팅 차이... 화장품 96%, 같은 제조사서 만든다 화장품 책임판매업체가 3만 개에 이르는 가운데 이들 제품의 96%는 제조사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선 결국 마케팅 차이라고 입을 모은다. 뷰티 브랜드는 점점 다양해지지만 화장품의 성분이나 제품력, 기능 등에 큰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다는 의미다. 2. 광고요금제 고심하는 OTT 업계… 뉴노멀 자리 잡나 넷플릭스에 이어 티빙도 광고형 저가 요금제 도입을 예고하면서 다른 OTT 업계도 시장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면서 소비자들에게 저렴한 요금제를 이용할 선택권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광고요금제가 뉴노멀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3. 뷰티 강화하는 무신사… CJ올리브영 대항마 될까 패션 플랫폼 무신사가 ..

콘텐츠의 미래는 OTT?

① 국내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애플리케이션 순사용자가 2000만 명을 넘어섰다. 이용자들은 1인당 2개 이상의 OTT 앱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서비스별로 보면 넷플릭스가 사용자 점유율과 사용 시간 점유율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넷플릭스는 1월 기준 사용자 수 1237만 명으로 앱 점유율 39%를 기록했다. 이어 쿠팡플레이(805만 명), 티빙(551만 명), 웨이브(301만 명), 디즈니플러스(277만 명) 순이었다. ③ 넷플릭스의 사용 시간은 1월 기준 8809만 시간으로 54.3%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다. ④ OTT 업계에서는 스포츠 중계권 확보 경쟁도 치열하다. 단단한 팬덤을 가진 인기 스포츠 경기를 통해 안정적인 구독자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⑤ 콘텐츠의 미래는..

20대를 잡고 싶은 플랫폼이 해야 할 일

20대 96% OTT 이용… 유튜브‧넷플릭스 순 (journalist.or.kr) 20대 96% OTT 이용… 유튜브‧넷플릭스 순 - 한국기자협회 국민 10명 중 7명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OTT 이용률은 96%에 달했고 전체 연령대별 이용률도 증가 추세였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27일 발표한 ‘2022 www.journalist.or.kr 1. 국민 10명 중 7명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OTT 이용률은 96%에 달했고 전체 연령대별 이용률도 증가 추세였다. 2.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27일 발표한 ‘2022 방송매체 이용형태조사’에 따르면 올해 OTT 이용률은 72.0%로 전년 대비 2.5%p 증가했다. 연령별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