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트럼프관세 5

트럼프발 관세정책, 공화당 텃밭에 더 큰 타격

①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2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최소 10% 이상의 상호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다. 한국에는 26%의 상호관세가 책정됐고 중국 34%, 일본 24%, 유럽연합(EU) 20% 등의 상호관세가 적용된다. 중국, EU, 캐나다 등이 강력한 보복을 예고하면서 글로벌 통상전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② 이번 미 행정부가 관세를 전면에 내세우는 이유는 관세가 중국의 철강 과잉 생산, 멕시코로부터의 이민자 유입, 펜타닐로 대표되는 마약 유통, 천문학적인 무역적자 등 미국이 처한 ‘국가안보’ 위기를 해결하기에 유용한 수단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③ 연구 결과 미국에서 관세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은 모든 품목의 수입량은 평균 31.7% 감소했다. 이렇게만 보면 관세로 인해 수입이 줄면..

트럼프 관세가 키운 불안, 금, 국채, 현금으로 일단 대피

① 미국발 관세전쟁이 세계 경제에 충격을 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 대피’ 기류가 확산하고 있다. 투자자 자금이 금, 국채, 현금 등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② 미국 증시 하락, 트럼프발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 경기 침체 가능성 등이 안전자산인 금 수요를 자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③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경계감은 기관투자가의 현금 보유 비중 확대에서도 감지된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가 4770억달러를 굴리는 펀드매니저 2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이들의 포트폴리오 내 현금 비중은 2월 3.5%에서 3월엔 4.1%로 뛰었다. 2020년 3월 이후 최대치다. 투자자들이 코로나19 때와 비슷한 속도로 현금을 쌓고 있는 것이다. ④ “관세에 더해 미국 경기..

트럼프 관세 폭탄, 미국 증시가 가장 세게 맞았다

① 지난 4일 미국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추가 관세를 확정하면서 트럼프발(發) 글로벌 관세 전쟁이 현실화되자 미국 3대 주가지수는 일제히 하락했다. 다우평균은 1.6%, S&P500은 1.2%, 나스닥은 0.4% 하락 마감했다. 특히, S&P500과 나스닥은 작년 11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당선 이후 친기업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올랐던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② 그러나 트럼프 관세의 직격탄을 맞은 중국과 또 다른 타깃이 된 유럽은 올 들어 주가가 상승세다. ③ 중국과 유럽 주식시장이 트럼프발(發) 관세 폭격에도 선방하는 이유는 트럼프 관세가 어느 정도 예상한 범위여서 이미 ‘내성’이 생겼고, 관세 정책 발표로 오히려 불확실성이 해소됐다고 보기 때문이다. 또 트럼프의 관세 위협이 협상용 카드..

서학개미, '트럼프 관세' 조심하라

① 올 들어 미국 나스닥지수가 10% 가까이 하락했다. 서학개미(해외 주식 개인 투자자)들은 적잖게 당황하고 있다. 서학개미들이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테슬라는 올 들어 지난 10일까지 40% 넘게 급락했다. 같은 기간 엔비디아 역시 20% 넘게 하락세를 보였다. ② 지금 미국에서는 관세를 앞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대외 정책이 세계 경제는 물론이고 미국 내수 경기도 얼어붙게 할 것이라는 경고가 쏟아지고 있다. ③ 물가가 높은 상태에서 경제 성장이 둔화하는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도 제기된다. 월가 투자은행 TD코웬의 제프리 솔로몬 대표는 “미국 경제가 올해 후반 경기 침체에 들어설 수 있다”고 했다. ④ 1930년 공화당은 수입품에 평균 40%의 관세를 부과하는 ‘스무트 홀리 법안’을 발의했다. 이..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려는 진짜 이유

① 관세는 세 가지 이유로 부과된다. 정부 세수를 늘리고 국내 산업을 보호하거나 타국에 보복을 가하기 위해서다.  ② 트럼프는 높은 관세로 국민이 단기적으로 고통을 겪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혜택을 볼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경제에 중요한 것은 단기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말했듯이 장기적으로 우리는 모두 세상을 떠나기 때문이다. ③ 트럼프 관세는 경제 희생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더불어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세 부과를 강행하고 있다. 이 사실은 자유무역으로 피해를 본 지역이 어딘지 살펴보면 분명해진다. ④ 제조업으로 번영했던 타운이 슬럼화했다. 공장 노동자들의 중산층 가정이 저소득층으로 전락했다. 모두가 떠난 공장에는 황량함만 가득했다. 외국 자동차와 철..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