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좋은 운전자는 가속과 제동을 적절하게 조절해 승객을 편안하면서도 빠르게 목적지에 도착하게 한다. 경제도 마찬가지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금리를 낮춰 경제 성장의 가속 페달을 밟기도 하고, 경기가 과열되면 브레이크 페달로 발을 옮겨 금리를 높여 물가 안정을 돕는다. 앨런 그린스펀(99)은 그런 연준의 베스트 드라이버다.
② 1987년 당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은 폴 볼커 연준 의장의 후임으로 그린스펀을 지명했다. 이후 그린스펀은 1987년부터 2006년까지 무려 19년간 4명의 대통령(레이건, 아버지 부시, 클린턴, 아들 부시)을 보좌하며 경제 운전대를 잡았다. 그는 시기와 상황에 따른 적절한 경제 개입으로 과도한 인플레이션이나 경기 침체를 피하고, 미국 경제의 성장과 번영에 기여했다.
③ 1987년 연준 의장에 취임하자마자 ‘블랙 먼데이’라 불리는 주가 대폭락 사태를 맞았으나 재빨리 금리를 낮추고 통화량을 늘려 경제 위기를 피했다. 1991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미국 역사상 가장 긴 경제 호황기를 이끌어 ‘마에스트로’(거장)라는 찬사를 들었다. 그가 하는 말 한마디에 온 세계가 귀를 기울였다. 프랑스 최고훈장과 영국 기사 작위를 받는 영광도 누렸다.
④ 그린스펀은 의도적으로 길고 모호한 표현을 사용해 금융시장의 과잉 반응을 방지했는데, 이를 ‘연준화법(Fedspeak)’이라고 부른다. 같은 말을 놓고 언론마다 해석이 크게 엇갈리기도 했다. 그린스펀 이후의 연준 의장들은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소통하고 있다.
⑤ 장기간 번영이라는 위대한 업적이 역사상 가장 큰 금융위기로 이어진 사실은 경제 정책이 얼마나 섬세하고 어려운 일인지를 보여준다. 금리라는 페달을 어떻게 밟고 놓아야 할지 고민하는 정책자들은 그린스펀의 영광과 오점을 함께 기억해야 할 것이다.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식 고립주의 '돈로 독트린' (1) | 2025.04.09 |
---|---|
X 이용자 2억명 개인정보 유출 의혹 (0) | 2025.04.09 |
기후 변화 때문에 와인이 독해졌다고? (1) | 2025.04.09 |
"미국 트럼프 대통령 2037년 90세까지 집권 가능" (0) | 2025.04.08 |
국가, 품목별로 관세 부과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