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난의 5줄 기사 요약

트럼프식 고립주의 '돈로 독트린'

에도가와 코난 2025. 4. 9. 08:00
728x90
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출범한 지 두 달 반이 지났다. 어느 역대 대통령보다 화려한 취임식을 열었지만 지금 모습은 ‘총체적 위기’다. 과연 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구상을 실현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첫째 트럼프 정책이 가장 빨리 반영되는 증시에선 취임 초기인데도 허니문 랠리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과거 대통령 취임 후 두 달 반 동안 S&P500지수는 평균 4% 이상 올랐다. 트럼프 2기에선 16% 급락했다. 테슬라 등 친트럼프 성향 기업이 몰려 있는 나스닥지수는 21%나 떨어졌다. 허니문 헬(hell·지옥)이다.

넷째 핵심 지지층 이반 조짐이 뚜렷하다. 최근 치러진 위스콘신주 대법관 선거에서 보수 성향의 브래드 시멀이 진보 성향의 수전 크로퍼드에게 패배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2000만달러 이상 대규모 지원에 나섰는데도 소용이 없었다. 선거 결과를 접한 트럼프 대통령이 충격을 받았다는 뒷얘기까지 들린다.

여섯째 2차 대전 이후 미국이 많은 시간과 비용을 들여 구축한 미국 위주의 국제협력 체제가 급속히 와해되고 있다. 집권 1기에는 세계무역기구(WTO) 국제통화기금(IMF) 등 양대 경제 기관에 재원을 제공하지 않아 기능을 많이 약화시켰다. 집권 2기엔 유엔 탈퇴를 선언해 ‘돈로(DonRoe) 독트린’을 완성했다. 돈로는 트럼프의 약칭인 도널드와 5대 미국 대통령 제임스 먼로의 먼로주의를 합친 신조어다.

일곱째 돈로 독트린을 바탕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주력해온 상호관세 역시 미국의 국익만을 생각하는 극단적인 보호주의 조치로 채워졌다. ‘슈뢰딩거 방식’을 채택해서다. 교역 상대국의 파동(경쟁할 힘)은 죽이고, 입자(국가)는 살리는 완전 제압 방식이다. 오스트리아 물리학자 에르빈 슈뢰딩거의 파동과 입자가 공존하는 양성자 실험에서 유래했다. 유럽 등 전통적인 동맹국도 예외를 두지 않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