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쿠팡플레이 6

AI와 광고의 결합, 넷플릭스 '애드테크'로 유튜브 추격

①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기업 넷플릭스가 광고 시장의 블랙홀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구전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진 K콘텐츠를 활용한 광고 전략으로 기업 광고를 빨아들이고 있다.  ② AI 광고 서비스는 넷플릭스가 2023년부터 공들여 개발한 기술이다. 지난 22일 ‘신형 무기’ 안착을 위해 방한한 에이미 라인하드 넷플릭스 광고총책임자는 “애드테크가 출시되면 AI가 시청자 개인에게 딱 맞는 광고를 송출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높은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라며 “시청하는 콘텐츠 내용과 연관성이 높은 광고를 AI를 통해 내보내는 ‘맥락 광고’를 곧 실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③ AI가 효과적인 광고 타이밍과 전략을 제시하는 등 광고주를 위한 서비스도 제공할 것으로 알려졌다. 넷플릭스..

네이버 "넷플릭스도 공짜로" 쿠팡과 전면전

① 네이버는 26일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넷플릭스 무료 시청’ 혜택을 추가했다. 월 구독료 4900원(연간 월 구독 때는 3900원)인 멤버십에 가입하면, 월 구독료 5500원의 넷플릭스 광고형 스탠다드 멤버십을 사용할 수 있다. 넷플릭스를 따로 구독하는 것보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에 가입하는 게 더 저렴한 셈이다. ② 네이버가 멤버십에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추가한 것은 기존 넷플릭스 가입자는 물론 신규 가입자까지 끌어들여 멤버십 이용자 수를 키우기 위한 전략이다. 업계에선 네이버의 멤버십 확대 전략이 국내 최대 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쿠팡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③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의 주요 성장 동력인 커머스(쇼핑) 거래액 증가세가 한계에 부딪히면서 쿠팡과의 이용자 유치 경..

OTT 전성시대의 그림

① “여보, 아버님 댁에 OTT 깔아 드려야겠어요.” 조만간 이런 말이 유행할지도 모르겠다. 아버님 댁에 ‘보일러’를 놓아 드리는 대신 ‘OTT(over the top)’를 깔아 드려야 할 날이 머지않았다는 말이다. ② 결론적으로 OTT란 셋톱박스(TV)에만 국한하지 않고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스마트TV 등 여러가지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말한다. 주로 영화와 드라마 콘텐트를 제공하는 넷플릭스나 티빙, 애플TV, 디즈니플러스, 웨이브, 쿠팡플러스 등이 모두 OTT 서비스다. ③ 그런데 최근엔 사정이 좀 달라졌다.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 티빙 등 OTT 서비스 가입자가 늘어나면서 이걸 깔지 않으면(이용하지 않으면) 일상 대화에도 끼기 어려운 지경이 됐다. 최근엔 극장 스..

쿠팡, 유튜브 콘텐츠 사업 뛰어든다

1. 네이버, 웹툰 IP 활용한 신규 디스플레이 광고 출시 네이버는 네이버웹툰 IP를 활용한 디스플레이 광고 상품 '원화컷 활용 DA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인다. 브랜드사가 협업 희망하는 네이버웹툰 작품의 IP를 광고 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광고 상품이다. 신규 상품의 경우 네이버웹툰은 물론 네이버 서비스 전반에 DA를 집행할 수 있다. 2. 쿠팡과 결별한 CJ, 알리와 전격 손잡아 CJ제일제당이 알리익스프레스와 손을 잡았다. '반 쿠팡' 연대의 대표 주자인 CJ제일제당이 알리와 공동전선을 펼침에 따라 이커머스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알리는 CJ제일제당이 입점한 기념으로 햇반과 만두 등 인기 제품에 대해 최대 70% 이상 할인 판매에 나섰다. 3. 쿠팡, 유튜브 콘텐츠 사업 뛰..

콘텐츠의 미래는 OTT?

① 국내 주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애플리케이션 순사용자가 2000만 명을 넘어섰다. 이용자들은 1인당 2개 이상의 OTT 앱을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서비스별로 보면 넷플릭스가 사용자 점유율과 사용 시간 점유율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넷플릭스는 1월 기준 사용자 수 1237만 명으로 앱 점유율 39%를 기록했다. 이어 쿠팡플레이(805만 명), 티빙(551만 명), 웨이브(301만 명), 디즈니플러스(277만 명) 순이었다. ③ 넷플릭스의 사용 시간은 1월 기준 8809만 시간으로 54.3%의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였다. ④ OTT 업계에서는 스포츠 중계권 확보 경쟁도 치열하다. 단단한 팬덤을 가진 인기 스포츠 경기를 통해 안정적인 구독자를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⑤ 콘텐츠의 미래는..

20대를 잡고 싶은 플랫폼이 해야 할 일

20대 96% OTT 이용… 유튜브‧넷플릭스 순 (journalist.or.kr) 20대 96% OTT 이용… 유튜브‧넷플릭스 순 - 한국기자협회 국민 10명 중 7명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OTT 이용률은 96%에 달했고 전체 연령대별 이용률도 증가 추세였다.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27일 발표한 ‘2022 www.journalist.or.kr 1. 국민 10명 중 7명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OTT 이용률은 96%에 달했고 전체 연령대별 이용률도 증가 추세였다. 2. 방송통신위원회가 지난 27일 발표한 ‘2022 방송매체 이용형태조사’에 따르면 올해 OTT 이용률은 72.0%로 전년 대비 2.5%p 증가했다. 연령별로..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