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백악관 4

"머스크 곧 백악관 떠날 것"

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내내 월권 논란에 휩싸였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겸 정부효율부(DOGE) 수장(54·사진)이 곧 백악관을 떠날 것이라고 정치매체 폴리티코가 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백악관은 “쓰레기 보도”라며 강하게 반박했지만 미 보수층 일각에서도 돌발 행동을 일삼는 머스크가 사퇴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② 폴리티코는 이날 익명 소식통 3명을 인용해 트럼프 대통령이 측근들에게 “향후 몇 주 안에 머스크가 국정 파트너라는 현재 역할에서 물러날 것”이라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대통령과 머스크 모두 머스크가 사업가의 역할에만 충실하며 후방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를 지원하는 것이 좋다는 결정을 내렸다고도 덧붙였다. ③ 일각에서는 지난해 대선 과정에서 강하게 밀..

관세율, 무역적자를 수입액으로 나눈 값의 절반, 미국의 황당 계산법

① 미국 무역대표부(USTR) 홈페이지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는 ‘미국과 각 교역 상대국 간 무역적자를 균형으로 만들기 위해(0으로 만들기 위해) 필요한 관세율’을 도출했다. USTR이 공개한 산식에 따르면 해당국 대상 무역적자를 수입 수요의 가격탄력성, 관세의 수입가격 전가율, 미국 수입 규모를 곱한 값으로 나눴다. ② USTR은 이런 계산법이 “지속적인 무역적자가 관세 및 비관세 요인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는 상식 밖의 주장을 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발표에서 이런 설명조차 없이 각국의 ‘대미관세율-환율조작 및 비관세 장벽 포함’이라고 적은 표를 제시했다. ③ 기본관세 10%는 미 동부시간으로 5일 0시(한국시간 5일 오후 1시), 상호관세는 9일 0시(한국시간 9일 오후 ..

1월20일의 악몽, 트럼프가 돌아왔다

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지난해 선거 캠페인 기간 “취임 첫날(1월 20일)만 빼고는 독재자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4년 만에 대통령으로 백악관에 재입성하는 그날 하루만큼은 ‘독재자’처럼 하고 싶은 일을 다 하겠다는 취지였다. 트럼프가 유세 중 “취임 첫날 바로 한다”고 선언한 공약은 41개, 이를 위해 필요한 행정명령은 25개 이상이라고 미 언론들은 분석했다.  ② 트럼프는 취임일에 미 역사상 최대 규모의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을 시작하겠다고 했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은 ‘24시간 이내’에 종결시키겠다고 했다. 국제 기후변화 협약인 파리기후협정을 탈퇴하고 전기차 우대 및 친환경 정책을 폐지하겠다는 구상도 밝혔다. 트랜스젠더 여성(남성이 여성으로 성전환)의 여성 스포츠 출전을 막고..

바이든 사퇴문구 최측근 2명에 맡겨, 참모들도 발표 1분 전에 알아

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사퇴 발표는 질 바이든 여사를 비롯한 가족들과 핵심 참모 극소수만 공유한 상태에서 전격적으로 이뤄졌다. ② 바이든을 대신해 민주당 후보가 될 가능성이 큰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도 발표 당일에야 사퇴 사실을 알게 됐고, 바이든이 자가격리를 마친 이후의 선거전략을 짜고 있던 선거캠프 참모들에게는 발표 1분 전에야 소식이 전해졌다. ③ 바이든이 21일 오후 1시46분(현지시간) X에 올린 한 장짜리 사퇴 입장문을 미리 알았던 사람은 바이든의 최측근 스티브 리셰티 고문과 마이크 도닐론 수석전략가 등 두 명뿐이었다. ④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백악관과 캠프 선임들은 사퇴 입장문 게시 1분 전인 오후 1시45분 바이든 대통령이 제프 자이언츠 백악관 비서실장을 통해 단체통화를 한 뒤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