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중국이 자신이 보유한 미국 국채를 무기화하여 미국 경제를 위협하거나 공격할 가능성은 작다. 앞으로도 그렇다.
② 오히려 데이터는 중국 당국이 달러화 자산을 적극적으로 축소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은 낮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달러 자산(국채 포함)은 지난 몇 년간 약 1조6000억 달러(한화 약 2200조원) 수준에서 놀라울 정도로 안정적이었다.
중국이 달러 자산을 다변화하려 해도, 3조2000억 달러에 달하는 보유 외환을 투자할 수 있는 고품질의 유동성 있는 대체 자산은 거의 없다.
③ 최근 몇 년간 중국의 달러 포트폴리오 내에서 자산이 미국 국채에서 기관채나 주식으로 재배치된 점이 관찰되지만, 이는 통상적인 자산 재할당으로 보인다. 중국이 거대한 보유 외환을 다변화하려 해도 현실적 제약이 따른다. 고품질의 유동성 있는 외화 자산을 대량으로 거래할 수 있는 시장이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④ 중국 국영 언론의 일부 평론가는 정부가 미국 국채를 활용해 워싱턴에 압력을 가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반면, 과거 미국 정책 당국자들은 중국의 국채 보유를 상환 거부하거나 취소하는 방안을 잠깐 검토했으나 곧 포기했다.
중국이 국채를 전략적으로 대량 매도해 미·중 관계를 흔들 가능성은 작다. 중국이 보유한 약 1조2000억 달러 규모의 국채를 모두 매도한다면 미국 GDP의 약 4.5%에 해당하는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시장 안정화를 위해 개입할 수 있어 큰 문제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최근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도 이와 유사한 견해를 밝혔다.
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중국이 달러화 자산을 축소하는 것은 비합리적이다. 무역 갈등이 심화될 경우, 자산 매각보다 위안화 약세 유도가 더 효과적인 대응이다. 중국이 미국 국채를 급매도해 문제를 일으킬 동기는 없으며, 그럴 가능성도 작다. 오히려 양국 모두 대규모 충돌을 원치 않기에 신중히 행동할 가능성이 크다.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가시네마' 신규투자 유치해 영화계 살린다 (1) | 2025.05.17 |
---|---|
조셉 나이 하버드대 석좌교수 별세 (2) | 2025.05.17 |
화려한 가우디와 표준화된 르코르뷔지에 (2) | 2025.05.16 |
"조선 사대부, 역관 등 중간계층이 전파한 서구 지식 외면" (0) | 2025.05.16 |
일 잘하는 정부의 조건 (1)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