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①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9일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페니’(1센트짜리 동전)를 없애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쓰임새 적은 1센트 동전을 만드는 데 3.7센트가 소요될 정도로, 배보다 배꼽이 큰 비효율 때문이라고 한다. 한국은 어떨까.
② 한국 주화 중 10원보다 낮은 화폐 단위로 1원과 5원 동전이 있다. 1원, 5원은 2005년부터 시중에 유통할 목적으로는 발행하지 않는다. 대신 기념품인 ‘한국은행 주화 6종 세트’에만 넣어서 판매된다.
③ 시중에 유통하기 위해 찍는 최소 화폐 단위는 ‘10원’이다. 발행량은 2020년부터 큰 폭으로 줄고 있다. 작년에는 전년보다 17% 줄어든, 4880만개를 발행했다. 10원뿐 아니라 50·100·500원 등 모든 동전 발행량이 줄었다. 작년 한은이 발행한 모든 동전의 액면가는 102억4200만원으로, 전년보다 24%가량 줄었다.
④ 현재 형태로 바뀌면서 2010년대 중반까지 10원 주조 원가는 20원대가량으로 알려졌으나, 지금은 40원대 안팎일 것으로 추정된다. 구리 가격이 10년간 80% 넘게 뛰었고, 인건비, 유통비 등도 올랐기 때문이다.
⑤ 특히 10원 동전은 방치 비율이 90%에 달해, 10개 중 9개는 집에 묵혀둔다. 동전을 없애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은행에서 교환하는 것이다. 다만 은행 지점마다 교환이 가능한 요일, 시간이 지정된 경우가 많아 미리 확인해야 한다. 온라인에서는 다양한 방법이 공유된다.
728x90
반응형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상임금 한 방에 2500억원 날아간 '유통 공룡들' (0) | 2025.02.24 |
---|---|
트럼프 '펜타닐 근절' 집착 뒤엔, 알코올 중독 숨진 형의 그림자 (2) | 2025.02.23 |
이성적 과열인가, 비이성적 거품인가 (0) | 2025.02.23 |
유년기의 끝 (0) | 2025.02.23 |
스태크플레이션 '딜레마' (0) | 2025.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