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지난해 말 영국 옥스퍼드대 출판부는 ‘올해의 단어’로 ‘뇌 썩음(brain rot)’을 선정했다. 미국 생태주의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1854년 ‘월든’에서 처음 쓴 말이라고 한다. ‘영국은 감자 부패(potato rot)는 치료하려 애쓰지만 뇌의 부패를 치료하려는 노력은 없다’며 시민들이 복잡한 사고를 거부하고 정신적으로 퇴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② 오늘날 뇌 썩음은 주로 청소년들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중독을 경고할 때 거론된다. 자극적인 쇼트폼 콘텐츠 과잉 소비로 집중력이 저하되고 문해력이 약화되는 등 지적 퇴화가 심각하다는 얘기다. 특히 콘텐츠를 추천하는 알고리즘에 중독성이 있어 청소년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했다.
③ 가뜩이나 40대부터 뇌 전두엽이 위축되는 게 자연의 섭리인데, 당장 편하다고 유튜브 삼매경에 빠져들면 세상을 객관화할 단서 자체를 잃어버리게 된다. 알고리즘에 끌려다니다 보면 정보의 편식이 일어나 보고 싶은 것만 보는 확증편향이 더욱 강화된다.
④ 극우 유튜브에 중독돼 부정선거 음모론에 빠져 버린 윤석열 대통령의 상태가 이를 잘 설명해준다. SNS 중독에 의한 뇌 썩음이 비상계엄에 이르는 오판을 낳고 그것이 온 나라를 흔들어버렸다. 여기에 중노년이 흔히 접하는 알코올과 고혈당, 스트레스는 전두엽을 더욱 위축시켜 감정 조절 장애와 인지 능력 후퇴를 가져온다.
⑤ 세계에서 가장 빠른 고령화를 겪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위험천만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어르신들에게 당장 유튜브 시청을 줄이고 책과 신문을 읽으며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시라고 권하고 싶다.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두환식 낡은 계엄' 실패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 (0) | 2025.01.22 |
---|---|
검찰 "윤, 포고령 직접 수정" (0) | 2025.01.22 |
경호처 내부 윤석열 사병화에 반발 (0) | 2025.01.21 |
"국가원수를 남미 갱단 다루듯" (0) | 2025.01.21 |
잃어버린 20년의 조짐, 한국증시 (0) | 2025.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