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히틀러 4

"양극단 치닫는 사회 핵심엔 단절된 리더 있다"

① 스티브 테일러(58) 영국 리즈베켓대 심리학과 교수가 쓴 『불통, 독단, 야만』(원제 ‘disconnected’)에 따르면 현실과 동떨어진 ‘단절형’ 리더는 때로 자신을 기만하기도 한다. 자신의 욕망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실제 벌어진 일이라도 부정하고 자신에게 불리한 정보는 ‘적들의 음모’로 치부하면서 혼자만의 세상에 갇힌다는 것. ② 테일러 교수는 영국의 대표적인 심리학자로  『보통의 깨달음』, 『마음의 숲을 걷다』 등의 저서를 통해 인간의 의식 변화를 연구해왔다. 영미권에서 2023년 출간된 『불통, 독단, 야만』은 히틀러, 사담 후세인, 도널드 트럼프 등 세계의 ‘위험한 리더’들에 대해 심리학적 진단을 담아 큰 주목을 받았다. ③ “공격적이며 충동적인 성향을 가진,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리더를 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가 심상치 않다

① 윤석열 대통령은 자기를 ‘반국가세력’ 더불어민주당이 주도한 내란 조작의 피해자로 둔갑시켰다. “실제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는데 달 그림자 같은 걸 쫓아가는 느낌”이라고 했다. 계엄 해제를 막기 위해 무장 군인을 국회에 투입하고, 언론사 단전·단수 조치를 지시했던 사실을 없던 걸로 하자는 것인가. 서울구치소 독방에 수감된 그는 민주당을 나치에 비유하면서 의회독재를 비판했다. ② 히틀러도 1923년 바이마르 공화국 체제를 전복하려던 뮌헨폭동 실패 이후 교도소 독방에 감금됐다. 망상 속에서 세계 정복과 인종 청소를 구상한 자서전 『나의 투쟁』을 구술했다. 광기의 극우 지도자는 1925년 출간된 이 책에서 “획득해야 할 대중의 수효가 많을수록 (선전의) 지적 수준을 더욱 낮추어야 한다”고 적었다. ③ 이승..

전체주의는 열등감을 먹고 산다

① 독일의 고등학교에서 민주주의의 가치를 가르치고자 무정부주의와 독재정치 강의를 시작한다. 학생들은 하나를 골라 일주일 동안 듣는다. ② 라이너는 학생들끼리 마주 보던 책상 배열을 교사인 자신만을 바라보게 바꾼다. 이제부터 모든 발언은 라이너가 허락해야 가능하다. 결속력을 다지자며 구령에 맞춰 발을 구르게 한다. ③ 디 벨레 안에서는 성적이나 외모, 성격에 따른 차별이 없다. 평소에 무시당했던 학생일수록 디 벨레가 주는 소속감에 맛 들려 이 작은 집단을 온 세상으로 착각하고 집착한다. 존재감 없던 시절로 돌아가기가 두렵기에 디 벨레에 맹목적으로 헌신하고, 밖에서는 디 벨레라는 완장을 무기 삼아 거침없이 군다. ④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하이에크는 국민이 전체주의에 빠지는 이유가 열등감 때문이라고 했다. 전체..

러 병사 상당수 사망원인 ‘전투’ 아니었다?!

러 병사 상당수 사망원인 ‘전투’ 아니었다…‘황당 이유’ 뭐길래 - 조선일보 (chosun.com) 러 병사 상당수 사망원인 ‘전투’ 아니었다…‘황당 이유’ 뭐길래 러 병사 상당수 사망원인 전투 아니었다황당 이유 뭐길래 www.chosun.com 1. 우크라이나 전쟁에 참전한 러시아군 일부가 전투와 관련 없는 원인으로 사망했다고 영국 국방부가 밝혔다. 2. 영국 국방부는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최대 20만 명의 병사를 잃는 손실을 입었다”며 “이 중 상당수가 비전투적 원인으로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3. ‘비전투 사상자’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는 ▲음주 ▲열악한 무기 훈련 환경 ▲도로 교통사고 ▲저체온증 등 기후로 인한 부상 등이 있다고 국방부는 전했다. 4. 국방부는 “러시아 지휘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