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을사늑약 3

윤석열측, 시일야방성대곡?!

① 윤 대통령 변호인단은 이날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 법치가 죽고, 법 양심이 사라졌다’는 제목의 입장문을 내고 “터무니없는 구속영장이 발부됐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②  ‘시일야방성대곡’은 ‘이 날에 목을 놓아 우노라’라는 뜻으로 1905년 황성신문 사장 겸 주필 장지연이 을사늑약 체결을 규탄한 논설의 제목이다. 윤 대통령에 대한 구속영장 발부를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은 불법 조약인 을사늑약에 빗댄 것. ③ 국민의힘도 윤 대통령 구속 과정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며 을사늑약에 빗댔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긴급 비상대책위원회를 열고 “을사늑약을 연상케 하는 55경비단 관인 대리 날인 등 대통령 체포, 구속 과정은 불법과 불법의 연속이었다”며 “사법부의 공정성과 신뢰성이 땅에 떨어졌다”고..

영화 <하얼빈> 팩트체크

① 독립투사 안중근(1879~1910)의 하얼빈 의거(1908)를 그린 영화 ‘하얼빈’(감독 우민호)이 개봉 19일만인 11일 400만 관객을 돌파했다. 미국·일본·프랑스·대만·호주 등 117개국에 판매돼 지난달 25일 미국·싱가포르를 시작으로 해외에도 차례로 개봉하고 있다.② 국내에선 상업영화치고 전개가 느리다는 반응도 있지만 “수업시간에 배운 것보다 더욱 실감나게 그때의 분통함과 애절함이 느껴졌다”(CGV 예매앱 관람평) 등 호평이 우세하다.  ③ 학자들에 따르면 을사늑약(1905)을 강행한 이토 히로부미(릴리 프랭키) 저격 사건까지 큰 맥락은 사실이 기반이되, 허구적 상상이 상당히 가미됐다. 오프닝에서 대한의군 참모중장 안중근(현빈)이 승전을 이끄는 신아산 전투(1908)신부터 일부 허구다. 대승 ..

요즘 가기 좋은 덕수궁 돈덕전!

① 돈덕전은 1902~1903년 지은 대한제국의 건물이었다. 고종 즉위 40주년을 경축하고, 대한제국의 자주 독립을 알리며 외교의 장으로 사용하려 했다. ② 그러다 을사늑약 후 일제의 영향력에 놓이게 되었다. 외교를 통해 대한제국 주권 수호를 꿈꾸던 곳이, 순종 황제 즉위식이 치러지는 등 일제 주관 행사장으로 변모했다. ③ 1919년 고종의 붕어 이후 돈덕전은 급속하게 쇠락하다 훼철되었다. 덕수궁이 공원화되며 돈덕전이 있던 자리엔 아동 유원지마저 들어섰다.④ 고종과 순종 그리고 어린 영친왕이 함께 테라스에 서 있는 사진들과 엽서마저도 사라진 흔적의 증거가 되었다.  ⑤ 내부가 약간은 아쉬웠지만 요즘 가기 좋은 덕수궁 돈덕전!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