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알고리즘 4

기업가적 정부의 역할

① 하지만 우리가 누리는 수많은 기술은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R&D 지원으로 탄생했다. 예컨대 인터넷은 미국 국방성 내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의 지원으로 처음 개발됐고,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기술은 미 해군의 지원을 받았다. 구글의 초기 알고리즘도 미 국립과학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발됐다. ② 이러한 혁신 기술은 성공 시 막대한 사회 경제적 파급 효과를 가져오지만, 동시에 높은 실패 위험으로 인해 민간기업은 투자에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 이럴 때 정부의 R&D 지원은 국가의 중장기적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마중물 역할을 했다. ③ 최근 국가혁신시스템 연구에서는 정부의 역할을 단순한 시장 실패의 수정을 넘어 새로운 혁신 영역을 발견하고 육성하는 ‘기업가적 정부’로 재정립하는 분석들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관점..

알고리즘이 문화 다양성을 죽였다

① ‘알고리즘의 축복’이란 말이 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알고리즘의 선택을 받은 콘텐츠는 조회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금세 ‘인급동’(인기 급상승 동영상)이 된다는 뜻이다. 한번 알고리즘을 탄 노래와 춤, 심지어 음식 등은 온라인을 넘어 오프라인을 지배하는 유행으로 자리 잡는다. ② 의 저자 카일 차이카(사진)는 1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서면 인터뷰에서 “우리는 우리가 소비하는 콘텐츠를 비롯해 각종 취향을 스스로 결정하고 있다고 믿지만, 대단한 착각”이라며 “온라인을 지배하는 알고리즘이 전 세계인의 문화적 취향을 지배하고 있다”고 말했다. ③ 차이카는 “알고리즘이 문화를 획일화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문화 소비자 사이에서 유행하는 노래와 춤, 음식, 장소 등은 알고 보면 소비자가 아니라 알고리즘이 선택한..

OTT넷플릭스가 촉발한 취향저격 '추천 알고리즘'

① 추천 알고리즘의 아이디어는 1979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일레인 리치 미국 텍사스대 교수는 ‘고정관념을 통한 사용자 모델링’이란 제목으로 낸 논문에서 도서 추천 시스템 ‘그런디’를 구상했다.  ② 이런 알고리즘은 1990년대 본격적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초창기 모델은 ‘콘텐츠 기반 필터링’과 ‘협업 필터링’이 주류를 이뤘다. ③ 콘텐츠 기반 필터링은 사용자가 이전에 좋아하던 것과 비슷한 항목을 추천하는 식이다. 협업 필터링은 다른 사용자와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추천해준다. ④ 추천 알고리즘의 획기적 발전을 불러온 것은 넷플릭스다. 이 회사는 2006년 ‘넷플릭스 프라이즈’라는 대회를 열어 알고리즘 개선 방법을 공개적으로 모집했다. ⑤ 2010년대 머신러닝과 딥러닝 등장은 추천 알고리즘이 한 번 더 ..

텀꾸가 뜬다…이젠 텀블러도 패션 아이템

1. 텀꾸가 뜬다…이젠 텀블러도 패션 아이템스탠리 텀블러를 중심으로 시작된 텀꾸 열풍이 미국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확산하고 있으며, 관련 상품들의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이는 일상적인 물건을 개성 있게 꾸미는 새로운 소비 문화의 한 모습으로 해석된다. 2. 오픈AI·구글 딥마인드 직원…AI 위험 경고오픈AI와 구글 딥마인드의 전현직 직원들이 AI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내부 고발자 보호 조치를 촉구했다. 이들은 AI 기업들이 이윤 추구로 인해 AI의 위험을 제대로 감독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3. 美, 청소년 대상 알고리즘 제공 금지 법안미국 뉴욕주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SNS 알고리즘 제공을 금지하는 법안을 추진 중이다. 제안된 법안에 따르면, 미성년 사용자의 피드는 자동 추천이 아닌 시간순으로 표시된다.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