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시부사와에이이치 5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

① 존왕양이(尊王攘夷)를 외치며 막부 타도를 목표로 동료들과 성을 습격하려던 그는, 난을 일으켜도 세상에 이익이 되지 않고 뜻을 알아주는 이조차 없으리라는 주변의 설득으로 히토쓰바시 가문의 가신이 된다. 그런데 주군이 막부의 수장인 쇼군이 되는 바람에 도리어 막부의 일원이 됐다.시부사와는 1867년 프랑스 만국 박람회에 참석하는 쇼군의 동생을 수행하며 눈을 떴다. 상공업 발전의 중요성을 깨닫는 한편으로 벨기에 국왕이 직접 철강 구매를 권하고 은행가가 장교와 대등하게 토론하는 모습을 보며 깊은 인상을 받았다. ② 그는 귀국 후 메이지 정부 대장성 관료로 활동하며 도량형 개정, 조세 개혁, 화폐 개혁, 철도 부설, 국립은행 조례 제정 등을 추진했다. 특히 서유럽 발전의 비결이 주식회사와 은행 제도라고 생각하..

미국, 일본 교과서, 기업인들 비중 있게 다뤘다

① “(초기 기업 창업가들의) 이념이 현대에도 통하는 생각이라는 것을 기술한다.” ②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라고도 하는 시부자와 에이이치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 벤처 투자자로서 일본에서 기업을 500곳이나 세운 인물이다. ③ 미국에서는 9~12학년생을 대상으로 맥그로힐이 출판한 ‘미국인의 역사’ 중 ‘산업 부흥기’장에 ‘철강왕’이라는 앤드루 카네기를 비롯해 JP모건을 세운 존 피어폰 모건, ‘석유왕’ 존 록펠러 등이 사업을 어떻게 시작했고 부흥시켰는지 등과 업적이 소개돼 있다. ④ 반면 한국의 고교 현행 정규 교육과정에는 이병철, 정주영, 박태준 등 한국 산업화를 이끈 거목(巨木)들에 대한 언급은 아예 없다. ⑤ 대한상공회의소 분석에 따르면, 미국 교과서에서는 기업가 정신에 대해 ‘새로운 ..

시부사와 에이이치는 어떤 사람?

① 시부사와 에이이치의 얼굴이 3일부터 일본의 1만엔권 지폐에 등장했다는 소식에 국내에선 “불편하다” “치욕이다” 등과 같은 반응도 적잖다. 왜일까. ② 대한제국에선 1902년 개항장을 중심으로 무역이 늘자 “지폐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때 일본의 민간은행이던 제일은행이 은행장이던 에이이치의 얼굴이 담긴 자체 지폐를 만들어 한반도에 뿌렸다. 대한제국의 허가 없이 나온 돈이었다. ③ 국사편찬위원회에 따르면, 당시 백동화 등 대한제국의 기존 통화는 정부의 과도한 대량 발행으로 신용력이 떨어져 있었고 이에 제일은행권이 사실상 법정화폐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④ “자본주의 체제에서 지폐·철도는 가장 강력한 권력 수단”이라며 “이에 에이이치가 1910년 ‘경술국치’ 이전 그 기반을 다지는 데 일조..

40년 만에 1만엔권 인물을 바꾼 까닭

① 지폐의 인물에는 가치관 이슈가 개입하고 돈도 꽤 들기 때문에 변경이 정말 어렵다. 그런데 일본이 지폐에 실리는 인물을 싹 바꿨고 최고액권인 1만엔권에는 시부사와 에이이치라는 낯선 인물이 등장했다.  ② 1958년에 처음 발행된 1만엔권의 인물은 쇼토쿠 태자였다. 율령 반포와 관료제 구축을 통해 고대국가의 기틀을 만들었다는 인물이다.   ③ 그리고 1984년, 메이지유신 시기의 계몽운동가 후쿠자와 유키치로 교체한다. 같은 책으로 당대에 200만권을 판매하는 기염을 토했던 인물이다. 그가 세운 대학교가 게이오대다. 대표적 주장이 ‘탈아입구(脫亞入歐)’인데 후진적인 아시아에서 벗어나 유럽 국가처럼 확 ‘변신하자’는 뜻이다. ④ 시부사와는 일본 자본주의의 설계자로 불리지만 ‘연쇄 창업자’가 더 정확한 표..

일본 20년만에 새 지폐 발행

① 여전히 현금 사용 빈도가 많은 일본에서 20년 만에 새로운 지폐가 등장했다. 지폐 전면에 등장하는 인물이 바뀌고 위조 방지 기능이 대거 장착된 것이 특징이다. ② 새 1만엔권에는 일본 메이지 시대 경제 관료를 거쳐 여러 기업의 설립에 관여해 ‘일본 자본주의의 아버지’로 불리는 시부사와 에이이치(1840∼1931년)의 초상화가 들어갔다. 일제 강점기 경성전기(한국전력의 전신)의 사장을 맡으며 경제 침탈에 앞장서고, 대한제국 시절 한반도에서 첫 근대적 지폐 발행을 주도하면서 본인 얼굴을 새기면서 한국에 치욕을 안긴 인물이다. ③ 5000엔권에는 일본 여성 교육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쓰다 우메코(1864∼1929년), 1000엔권에는 일본 근대 의학의 기초를 놓은 기타사토 시바사부로(1853∼1931년)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