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02/18 5

나이들수록 시간 빨리 간다

① 나이 들수록 시간이 빨리 가는 것처럼 느끼는 건 당신 혼자가 아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16일 노화와 체감시간의 관련성을 설명하는 몇 가지 이론을 전했다.② 대표적인 이론은 프랑스의 심리학자 폴 자네의 ‘자네의 법칙’으로, 심리적 시간이 연령에 반비례한다고 설명한다. 1세 아이가 체감하는 1년을 365일이라고 했을 때, 같은 1년이 20세는 18.3일, 40세는 9.1일로 줄어든다. 이 법칙에 따르면 50세의 1년은 체감 일주일(7.3일), 80대를 넘어가면 4.6일에 불과하다. ③ 그는 “뇌의 해마에는 시간을 계산하는 ‘시간 세포’가 있는데, 외부로부터 정보량이 많을수록 시간이 천천히 지나가는 것처럼 느낀다”고 말했다. 반면에 스마트폰으로 웹서핑할 때 뇌의 기능과 시간 세포가 둔해지기..

트럼프 등장에 얻어붙은 유엔

① 세계에서 렌트비가 높기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곳이 미국 뉴욕 맨해튼이다. 유엔 건물은 맨해튼에서도 요새 젊은 중산층 이상 부부들에게 가장 인기 있다는 롱아일랜드 시티를 바라보며 이스트강가에 서 있다. 그런데 상시적으로 국제회의가 열리는 공간이라는 점을 감안해도 내부가 무척 넓고 빈 공간이 많다. 심지어 일 년 중 유엔 총회 기간을 제외하면 북적이지도 않는다.  ② 유엔에는 영어, 중국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아랍어 등 공식 언어 6개가 있다. 그렇다 보니 유엔 공식 문서가 되기 위해서는 같은 내용에 대해 공식 언어로 된 프린트물 6개가 있어야 한다. 한 언어라도 빠지면 공식 문서 효력이 없다.  ③ 유엔 직원들은 매년 운영비를 내주는 회원국의 눈치를 거의 보지 않는다. 그들의 절대적인 상관..

트럼프가 관세를 부과하려는 진짜 이유

① 관세는 세 가지 이유로 부과된다. 정부 세수를 늘리고 국내 산업을 보호하거나 타국에 보복을 가하기 위해서다.  ② 트럼프는 높은 관세로 국민이 단기적으로 고통을 겪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큰 혜택을 볼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경제에 중요한 것은 단기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말했듯이 장기적으로 우리는 모두 세상을 떠나기 때문이다. ③ 트럼프 관세는 경제 희생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더불어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관세 부과를 강행하고 있다. 이 사실은 자유무역으로 피해를 본 지역이 어딘지 살펴보면 분명해진다. ④ 제조업으로 번영했던 타운이 슬럼화했다. 공장 노동자들의 중산층 가정이 저소득층으로 전락했다. 모두가 떠난 공장에는 황량함만 가득했다. 외국 자동차와 철..

트럼프 관세 포격, FTA 맺은 한국도 영향 우려

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주의’ 교역을 강조하고 나서면서 한국과의 무역 균형을 맞추기 위한 압박도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은 지난해 미국의 8위 무역적자국(상품 수지 기준)이다. ② 9일 미국 상무부 등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의 10대 무역 적자국으로 꼽힌다. 지난해 미국은 한국과의 교역에서 역대 최대치인 660억 달러(약 95조5548억 원) 적자를 봤다. 한국은 중국, 멕시코, 베트남, 아일랜드, 독일, 대만, 일본의 뒤를 이어 무역적자 규모 8위에 올랐다. ③ 무역적자만 두고 보면 한국이 관세 부과 고려 대상이 될 수 있지만 한국은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해 이미 대미 관세가 미미한 수준이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에 따르면 한미 FTA 발효 10년 차인 2022년 3..

'올해의 행동 키워드' 정하셨나요?

① ‘회복 탄력성 맥박 체크(Resilience Pulse Check)’란 제목의 보고서를 보았다. 최근 세계경제포럼에 소개된 보고서다. 2024년에 포천 글로벌 500 기업에 속한 임원들이 실적 발표에서 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나타내는 ‘회복성’이라는 용어를 언급한 횟수가 2019년 대비 200% 이상 급증했다고 한다. ② 관련한 글로벌 리더들의 인터뷰 내용을 요약하면 ‘변화 속도는 너무 빠르고 위기 요인도 다양해서 구체적 계획을 잘 짜서 대응하기에 매우 복잡한 상황’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내 조직의 회복 탄력성 맥박이 힘차게 잘 뛰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시점이라는 것이다. ③ 그래서 선택지는 위기 후 성장이냐 아니면 좌절이냐는 두 가지밖에 없다. 좌절은 더 피곤하니 성장을 선택하는 것이 나을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