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AI대부 2

AI는 인류 전체를 귀족으로 만들어줄까

① “난 사람이 주인이 되길 원했네! 사람이 (노동에서 해방되어) 더 이상 빵을 위해 살지 않기를! (…) 난 인류 전체를 귀족 사회로 만들고 싶었네.”  ② 104년 전에 발표되어 ‘로봇’이라는 신조어를 세상에 알린 희곡 ‘R.U.R.(로줌 유니버설 로봇)’(1920)에 나오는 대사다. 체코의 천재적 작가·언론인 카렐 차페크(1890~1938)는 이 희곡을 쓰면서 인조 노동자를 가리키는 말로 뭐가 좋겠느냐고 화가인 형 요세프에게 물었다. 그러자 형이 체코어로 ‘노동’을 가리키는 ‘로보타’에서 비롯된 ‘로봇’이 좋겠다고 한 것이었다. ③ 차페크의 희곡을 떠올린 것은 올해 노벨 물리학상과 화학상이 연이어 인공지능(AI) 관련 학자들에게 돌아갔기 때문이다. 수상자 중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는 ‘A..

AI 위험성의 실체?!

지적되는 AI 위험성은 사실 인간의 문제다 - ZDNet korea 지적되는 AI 위험성은 사실 인간의 문제다 ‘AI 대부’로 불린다는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가 화제의 인물이 됐다. 10년 넘게 다닌 회사인 구글을 그만두면서까지 인공지능(AI)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섰기 ... zdnet.co.kr 1. ‘AI 대부’로 불린다는 제프리 힌튼 캐나다 토론토대 교수가 화제의 인물이 됐다. 10년 넘게 다닌 회사인 구글을 그만두면서까지 인공지능(AI)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2. 챗GPT 출시 이후 AI 위험성을 강조하는 목소리는 계속돼왔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가 대표적인 인물이다. 심지어 챗GPT를 개발한 오픈AI의 최고경영자(CEO)인 샘 알트먼도 기회 있을 때마다 위험성을 지적..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