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3만달러 2

20년 전 비슷했던 이탈리아, 독일의 다른 길

① 이탈리아는 유럽의 경제 강국이었다. 20년전인 2005년만 해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3만2470달러로 독일(3만5730달러)과 어깨를 견줬다. 하지만 최근엔 독일 5만4800달러(2023년 기준), 이탈리아 3만7920달러로 양국의 격차는 약 1만7000달러로 벌어졌다. 2007년 4만 달러, 2021년 5만 달러의 벽을 넘은 독일과 달리 이탈리아는 약 20년간 3만 달러대에서 제자리걸음을 했기 때문이다. ② 과잉 복지에 따른 재정 악화, 유럽 최고의 고령화, 정치권의 포퓰리즘 등이 얽히면서 이탈리아의 구조적 저성장을 만들어냈다. 1960~70년대 성장기에 설계된 복지 혜택은 고령층에 집중됐고, 일자리는 기성세대가 카르텔을 쌓아 독점했다.  ③ 노후·실업 연금 등을 포함한 사회복지 지출이 이..

7년째 3만달러에 갇힌 1인당 국민소

① 작년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7년째 3만달러 박스권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국민총소득은 한 나라 국민 전체가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말한다. 외국인이 한국에서 번 소득은 빼고 손흥민·김하성 선수 등 한국 국민이 해외서 번 돈은 포함시키는 개념이다. ③ 1인당 국민총소득은 2017년(3만1734달러) 처음 3만달러대에 올라선 뒤 7년째 3만달러 박스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④ 저출산·고령화, 세계 최고 수준의 가계부채 등으로 성장 동력이 약해져 장기 저성장 국면에 빠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⑤ 2022년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은 국제연합(UN) 기준 세계 40위였다. 인구 5000만명 이상 국가 중에선 7위 수준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