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카카오톡 6

영웅을 죽이는 사회, 영웅을 만드는 사회

① 천사의 미소를 지닌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의 실제 성격은 정반대였다. 지독한 일중독이었던 그는 직원이든 동업자든 성에 차지 않으면 “내가 들어본 것 중 가장 멍청한 소리”라고 독설을 퍼부었다. 경쟁 업체를 죽이기 위해서는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② 법원이 게이츠를 망신 주기 위해 영상을 공개했지만 게이츠에 대한 여론의 지지는 흔들리지 않았다. 시쳇말로 싸가지 없는 그의 태도를 비난하기보다는 그가 소프트웨어를 앞세워 일본 제조업에 밀려 죽어가던 미국의 첨단 산업을 일으켰다는 것을 더 높이 평가했다. 그렇게 그는 미국 기업가의 표상이 되었다. ③ 한국은 어떤가? 아무리 뛰어난 기업가라도 한 번 스텝이 꼬이면 나락으로 떨어진다. 요즘 카카오 김범수 창업자가 그런 케이스다. 주가 시세조종 혐..

카톡으로 10만원대 호텔 디저트 선물

① 카카오톡 선물하기를 통해 고급 호텔의 10만원대 디저트나 레스토랑 이용권을 주고받는 '스몰 럭셔리(작은 사치)' 선물 문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불경기에도 '가심비(가격 대비 심리적 만족)'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이어지면서 고급 호텔 상품의 판로가 다양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② 1일 롯데호텔앤리조트에 따르면 시그니엘 서울의 '애프터눈 티 세트'는 올해 1분기 기준 카카오톡 선물하기에서만 매달 1000개 이상 판매됐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는 한 달에 70개 정도만 판매됐던 것을 감안하면 폭발적인 성장이다. ③ 이 같은 현상은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선물 문화가 보편화된 가운데 스몰 럭셔리 소비 문화가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기왕 선물한다면 내 돈 내고는 감히 해보기 어려운 특별한 경험을 주자..

한국에서 자주 실행한 앱 2위, 인스타그램

① 글로벌 소셜미디어(SNS) 인스타그램이 카카오톡에 이어 ‘국내에서 자주 실행한 앱’ 2위에 올랐다. ② 인스타그램보다 실행 횟수가 많은 앱은 카카오톡 뿐으로 727억108만회를 기록했다. ③ 지난해 1분기 카카오톡, 네이버, 유튜브에 이어 4위에 머물러 있던 인스타그램이 지난해 4분기 유튜브를 제치고 올해 1분기 네이버까지 뛰어넘은 것이다. ④ 짧은 영상(숏폼)의 인기로 앱 사용 시간도 늘고 있다. 인스타그램의 사용 시간은 올해 1분기 201억9644만분으로 유튜브, 카카오톡, 네이버의 뒤를 이었다. ⑤ 인스타그램이 자체 숏폼 서비스 ‘릴스’를 기반으로 MZ세대의 새로운 소통 수단으로 자리 잡으면서 사용 횟수와 시간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소셜미디어 X의 기업가치 1년 새 72% 폭락

1. 올해 국내 이용자 1위 모바일 플랫폼 바뀐다 올해 1위 플랫폼의 지위가 카카오톡에서 유튜브로 바뀔 가능성이 커졌다. 작년 12월 카카오의 메신저 카카오톡의 MAU는 4102만 1737명으로 1위를 유지했지만, 2위인 구글 유튜브 4102만 1401명과의 차이는 고작 336명에 불과했다. 2. 구글 검색 왕국 깨질까 올해 구글·메타·애플 등 빅테크의 반독점 문제에 대한 재판 결과가 본격적으로 나올 것으로 보인다. 재판 결과에 따라 빅테크 기업들이 핵심 사업을 분할하거나, 수익 모델을 바꿔야 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따라 검색 시장 점유율 90% 이상인 구글의 검색 왕국에 균열이 생길 수도 있다. 3. X 기업가치 1년 새 72% 폭락 소셜미디어 X의 기업 가치가 일론 머스크에게 인수된 지 ..

‘카톡 감옥’ 힘들었죠?

‘카톡 감옥’ 힘들었죠? 단톡방 강제 초대, 이젠 거절할 수 있다 - 조선일보 (chosun.com) 카톡 단톡방 마구잡이 초대, 이제 거절할 수 있다 카톡 단톡방 마구잡이 초대, 이제 거절할 수 있다 이용자 수락 기능 도입 www.chosun.com 1. 모르는 사람 또는 카카오톡에서 차단 설정을 해놓은 사람으로부터의 그룹채팅방(단톡방) ‘초대’를 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카카오톡에 정식 도입됐다. 그동안 카카오톡에서는 누구든 상대방 전화번호만 알면 단톡방에 강제 소환을 할 수 있었다. 2. 카카오는 최근 업데이트를 통해 이용자 편의성과 계정 보안을 강화하는 여러 기능을 추가했다고 3일 밝혔다. 우선 그룹채팅방 초대시 이용자의 수락 여부를 묻는 기능이 정식으로 반영됐다. 3. 강제로 초대되는 기능을 악용..

카톡 vs 라인 vs 텔레그램

“카톡, 미워도 다시 한번” “라인, 뭔가 아쉬워” “텔레그램, 비밀 많은 느낌” - 조선일보 (chosun.com) 메신저 이중화 시대 기자들의 사용기… “텔레그램 비밀 많아 보여, 라인은…” 메신저 이중화 시대 기자들의 사용기 텔레그램 비밀 많아 보여, 라인은 메신저도 이젠 이중화 시대 카톡·라인·텔레그램 써보니 www.chosun.com 1. 주제문 : 사상 초유의 카카오톡 먹통 사태를 겪으며, 많은 이들이 “데이터센터뿐 아니라, 메신저도 이중화가 필요하구나”란 생각을 했다. 카카오톡의 국내 메신저 시장 점유율(이용자 수 기준)은 약 85%로 압도적이다. 2. 카카오톡과 라인, 텔레그램을 함께 쓰며 장단점을 분석 ① 카카오톡 ‘네트워크 효과’ ‘카카오톡 내 결제(카카오페이)’ 기능 & 주변사람들 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