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창비 2

문학동네와 창비는 울고 민음사와 밀리의서재는 웃었다

① 문학동네와 창비가 영입이익이 크게 준 반면 민음사의 영업이익은 반대로 증가한 것. 출판계 불황 속에서 공격적 투자보다 보수적 대응이 엇갈린 성적표를 만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② 문학동네는 지난해 공격적인 시장 공략에 나섰다. 대표적으로 지난해 9월 일본 소설가 무라카미 하루키의 장편소설 ‘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을 출간하며 서울 성수동에 팝업스토어까지 여는 등 마케팅에 적극 나선 것. 이번 선인세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지만 하루키의 전작인 ‘기사단장 죽이기’(2017년)의 선인세가 20억∼30억 원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에도 비슷한 수준을 지급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업계에 따르면 기대했던 것만큼의 판매량은 거두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③ 창비는 지난해 손꼽을 만한 새로운 베스트셀러를 내지 못했..

젊은 층 잡으려 팝업스토어 여는 출판계

1. 알리·테무 공세에도… 국내 이커머스 업체 매출 증가알리, 테무 등 중국 직구 플랫폼의 공세에도 쿠팡, SSG 등 국내 주요 이커머스 업체들이 성장세를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국내 주요 25개 유통업체 매출이 지난해 3월보다 10.9% 증가한 15조 8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이후 7개월 연속 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2. 젊은 층 잡으려 팝업스토어 여는 출판계출판계가 임대료, 부스 설치비 등을 부담하며 ‘팝업스토어 마케팅’에 나서는 것은 책과 멀어지고 있는 젊은 층을 잡기 위한 시도다. 작가 사인회 등 전통적인 방식만으로는 젊은 세대들의 관심을 끌기에 한계가 명확하다고 본 것이다. 3. 되살아나는 디지털광고 시장, 한숨 돌린 빅테크한동안 부진에 빠져 있던 디지털광고 시장이 부활 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