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시총1위 3

왕좌 되찾은 애플

① 한때 마이크로소프트와 엔비디아에 글로벌 시가총액 1위 자리를 내줬던 애플이 실적 개선 기대감에 힘입어 왕좌를 되찾았다. 지난달 10일 연례 세계 개발자 회의(WWDC)에서 아이폰에 탑재할 인공지능(AI) 전략을 발표한 이래 최근 이어진 가파른 주가 상승세가 반영된 결과다. ② 그동안 세 종목은 AI 랠리에서 선두 다툼을 벌였다. AI 모멘텀에 다소 뒤져있다던 평가를 받은 애플이 ‘인텔리전스 서비스’ 내년 출시 기대감으로 다시 1위에 오른 것이다. ③ 현지에서는 애플이 기업가치 4조달러(약 5500조원)에 도달하는 최초의 기업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④ 월가에서는 인공지능(AI) 특수가 쏘아 올린 반도체 특수로 인해, 그동안 상승 장세에서 제외됐던 소외주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Open AI를 안고 시총 1위로 올라간 MS

① AI 수익화에 한발 다가선 MS와 달리 구글은 캐시카우인 광고 수입이 기대만큼 성장하지 못했다. AI가 빅테크의 성장을 이끄는 ‘돈 버는 AI’ 시대가 본격화하고 있다는 평가다. ② AI 시대 핵심 인프라인 클라우드가 두 기업의 매출 성장을 견인했다. ③ MS는 AI 수익화에 한 발 더 다가섰다. AI로 돈은 어떻게 벌 거냐는 의구심이 그간 있었는데, MS가 이를 일정 부분 해소했다. ④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AI 사업의 성장 동력을 유지하려면 주 매출원인 광고 부문이 캐시카우 역할을 해야 한다. MS는 올해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넘어서며 애플을 제치고 시총 1위에 올랐다. ⑤ 올해는 AI 키워드가 있냐없냐, 이걸로 수익화 가능하냐안하냐에 모든게 갈릴 듯!

과연 누가 왕이 될 것인가?! 애플 vs MS

① 미국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분석이 시작된 것은 1926년이다. ② 지금까지 시총 1위를 차지한 기업은 10여개에 불과하고, GE, GM, 엑슨모빌, 듀폰, 알트리아 AT&T, 월마트, IBM, MS, 애플, 시스코, 알파벳, 아마존 등이다. ③ 미국 시총1위 기업의 바통 터치는 글로벌 산업 트렌드와 맥을 같이했다. ④ 애플과 MS의 왕좌 전쟁은 단순한 기록 경쟁을 넘어 미래 산업의 주도권 쟁탈전 의미가 있다. ⑤ 둘다 주주라서 아무나 이겨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