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스탈린 2

스탈린의 죽음

① 1953년 3월 6일 모스크바 거리에 나는 서 있다. 아침 6시부터 방송이 전했다. 어제,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의 대원수 이오시프 스탈린이 죽었노라고. 그는 정확히 4년 전 1949년 3월 5일 김일성과 박헌영에게 6·25전쟁을 승인했더랬다. 한데 어제 북한에서는 박헌영·이승엽·이강국 등 남로당 계열이 체포됐다. 김일성이 스탈린의 죽음을 알았는지, 그것과 연관성이 있는지는 확실치 않다. 모르지 뭐, 신(God)의 편집증이 ‘3월 5일’에 역사적 사건들을 줄 세웠는지도. ② 북한은 소련이, 대한민국은 UN이 만들었다. 6·25전쟁은 스탈린이 연출, 중공이 지원, 김일성·박헌영이 일으킨 전쟁이다. 연출자의 죽음은 7월 27일 22시, ‘사실상’ 휴전을 불러왔다. 6·25전쟁은 미국과 서방 자유세계가 ..

독재자의 불면증

스탈린·카다피·김정은...독재자의 불면증[만물상] - 조선일보 (chosun.com) 스탈린·카다피·김정은...독재자의 불면증[만물상] 스탈린·카다피·김정은...독재자의 불면증만물상 www.chosun.com 1. 소련 독재자 스탈린의 업무 스타일이 서방에 알려진 것은 2차대전 전후 처리를 위해 크림반도 휴양지 얄타에서 미·영·소의 세 거두가 만났을 때였다. 스탈린은 밤 9시에 회의하고 자정에 저녁을 먹었으며 새벽 5시에야 잠자리에 들었다. 2. 많은 독재자가 밤에 일하고 새벽까지 술을 마신 뒤 해가 중천에 뜰 때까지 잔다. 자기 멋대로 일할 수 있어서만은 아니다. 권력을 잃을지 모른다는 불안으로 일상이 무너진다. 나폴레옹은 하루 평균 4시간밖에 못 잔 불면증 환자였다. 히틀러는 하루 두 번 신경안정제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