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초사회 2

내년 디지털시장 키워드는 시성비(시간 대비 성능)

① IT업계에서 내년 디지털 서비스와 마케팅을 관통하는 키워드로 '시간 대비 성능'을 의미하는 신조어 '시성비'가 꼽히고 있다. ② 60초 안팎의 짧은 '쇼트폼 콘텐츠' 관련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틈새 시간 활용법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만들 것이란 전망이다. ③ 틱톡이 주도한 쇼트폼 콘텐츠는 유튜브(쇼츠)와 인스타그램(릴스) 등 미국 빅테크에 이어 네이버와 카카오까지 가세했다. 마케팅 플랫폼 나스미디어는 지난달 '디지털 미디어 및 마케팅 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쇼트폼은 재생 시간이 짧으면서도 몰입도가 높아 다양한 서비스와 접목하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고 분석했다. ④ "이용자들이 앞으로 시간을 조각조각 나눠 관리하는 산업 규모가 더 확대될 것" ⑤ 트렌드코리아2024 에서 나왔던 키워드 "분초사회..

MZ는 다꾸다?!

1. 이커머스, 체험에 사활 걸었다 이커머스 업계가 고객 체류형 인앱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게임이나 커뮤니티 등의 서비스로 체류 시간을 늘리고 신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다. 앞으로 이커머스도 오프라인 채널처럼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 티빙에 프로야구 중계권 빼앗긴 네이버… 광고 매출 타격받나 지난 18년간 KBO리그 프로야구를 생중계해온 네이버가 티빙에게 중계권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 프로야구 생중계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관련 광고 매출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야구팬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광고를 유치하면서 매출을 냈다. 3. MZ세대, 디토 소비·리본 장식·꾸미기에 빠져 에이블리가 2024년 스타일 트렌드로 ‘D.O.P.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