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마르크스 2

카를 마르크스의 묘비

① 혁명가인 그의 망명을 끝끝내 받아준 나라는, 아이러니하게도 그가 파괴하려는 자본주의가 가장 발달한 영국 제국이었다. 그는 대영도서관에서 ‘자본론’을 집필한 빚을 그의 무덤을 찾아오는 관광객들로 갚고 있다. ② 마르크스는 자본주의 안에 살면서 자본주의를 파악하기란 쉽지 않다고 하였으되, 그거야 다른 일들도 마찬가지다. 사랑을 하면서 사랑을 알기란 쉽지가 않다. 사랑을 잃어버리고도 사랑이 뭔지 모르는 게 인간이니까. ③ 나는 대학 89학번인데, 그 무렵 비로소 마르크스의 ‘자본론’ 등이 ‘공식적으로’ 번역 출판됐다. 이전에는 금서(禁書)였다. 법학자인 아버지가, “이제야 우리 사회가 ‘자본론’도 서점에 깔리는구나. 별것도 아닌데 쓸데없이 금지해 놓으면 대단한 걸로 둔갑을 하지”라고 하셨던 기억이 생생하다..

1980년대생부터 유예세대 본격화

① 한국에서 젊은 세대의 '인생 유예' 현상이 본격화한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라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② 하지만 금융위기 이후엔 한국 사회의 역동성과 탄력이 급격히 둔화됐다. ③ "고용 없는 성장기에 사회에 진출한 80년대 중후반생을 중심으로 졸업을 유예하는 게 트렌드가 된 듯" ④ 젋은 세대가 '인생 시계'를 늦추는 건 세계쩍 추세라는 시각도 있다. ⑤ 칼 마르크스가 지적했던 것처럼 유물사관의 하부구조, 경제가 많은 것을 설명하고 이해할 수 있게 되는 듯.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