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다이소 3

다이소, 올영에 편의점 가세, 판 커진 건기식 유통 경쟁

① CJ올리브영과 최근 약사회와 갈등을 빚은 다이소가 건강기능식품 제품군 유통을 강화하고 있는 가운데 편의점도 뛰어들어 건기식 유통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편의점 CU 운영사인 BGF리테일과 GS25 역시 건기식 판매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② 편의점은 법적으로 ‘일반식품’으로 분류된 제품은 판매할 수 있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인증한 ‘건강기능식품’을 팔기 위해선 허가를 거쳐야 한다. 현행법상 건기식을 판매하려면 업주가 연 2회 영업자 위생교육을 받고 판매업 신고를 해야 한다. ③ 다이소는 뷰티 사업 ‘성공 방정식’을 건기식 시장에도 적용했다. 다이소는 VT코스메틱, 네이처리퍼블릭 등 중견 브랜드와 협업해 3000원, 5000원 균일가로 화장품을 판매하고 있다. 기존 유통 채널에 비해 판..

틱톡샵 국내 상륙 초읽기

1. 틱톡샵 국내 상륙 초읽기 중국 소셜미디어 틱톡이 한국에서 대규모 인력 채용에 나서며 국내 유통시장 진출을 본격화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틱톡은 자사 글로벌 커리어 채널과 국내 인력 채용 업체를 통해 채용을 진행 중이다. 틱톡샵은 틱톡의 전자상거래 플랫폼이다. 2. 머스크, X 신규 계정 유료화 고민 소셜미디어 엑스의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신규 가입자를 대상으로 부분 유료화를 도입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자신의 엑스 계정에 안타깝지만 신규 계정이 글을 쓰려고 할 때 소액의 요금을 내게 하는 것만이 악성 봇의 맹렬한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올렸다. 3. 3조 돌파한 다이소, 온오프라인 사업 강화 아성다이소가 매출 3조 원을 첫 돌파했다. 올해는 지난해 기준 전국 1519곳에 달하..

MZ는 다꾸다?!

1. 이커머스, 체험에 사활 걸었다 이커머스 업계가 고객 체류형 인앱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게임이나 커뮤니티 등의 서비스로 체류 시간을 늘리고 신규 고객을 유치하기 위해서다. 앞으로 이커머스도 오프라인 채널처럼 고객의 시간을 점유하는 것이 중요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2. 티빙에 프로야구 중계권 빼앗긴 네이버… 광고 매출 타격받나 지난 18년간 KBO리그 프로야구를 생중계해온 네이버가 티빙에게 중계권을 빼앗길 위기에 처했다. 프로야구 생중계 여부가 불투명해지면서 관련 광고 매출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네이버는 야구팬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광고를 유치하면서 매출을 냈다. 3. MZ세대, 디토 소비·리본 장식·꾸미기에 빠져 에이블리가 2024년 스타일 트렌드로 ‘D.O.P.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