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노벨과학상 2

왜 노벨과학상은 미국과 유럽이 휩쓸까

① 노벨 과학상 누적 수상 1위는 미국이며, 영국과 독일, 프랑스에 이어, 일본은 5위다. 이유가 궁금했다. ② 원자 크기의 미시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밝힌 거장들이다. 빛은 한 번에 연필로 그은 게 아닌 무수한 점으로 된 선과 같고, 파동과 입자라는 두 얼굴의 야누스 같은 존재요, 물질은 에너지의 다른 이름이었다. ③ 역전이 일어난 것은 1950년대 말. 1927년부터 컴프턴, 로런스, 체임벌린 같은 미국인들이 합류해 유럽을 앞질렀고, 1960년대 이후에 거시세계에 관한 연구로 지평이 확장됐다. ④ 전후에 미국 수상자가 급증한 것은 이민 정책과 법령 정비를 통한 연구비 증액 덕분이다. 대학을 늘린 것도 한몫했다. 일본은 메이지유신으로 근대 국가의 틀과 연구 기반을 다졌다. 개화기 한국과 일본의 운명..

AI가 노벨상 휩쓸어

① 인류 과학 문명에 획을 긋는 성과를 시상하는 ‘노벨 과학상’을 인공지능(AI)이 휩쓸었다. AI의 대부로 불리며 기술의 토대를 놓은 연구자들이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데 이어, ‘알파고 쇼크’로 세계를 놀라게 한 AI 개발자들이 화학상까지 거머쥔 것이다. ② 노벨위원회는 “50년도 넘은 단백질 구조 예측의 꿈을 실현했다”며 “단백질 구조 예측과 설계는 인류에게 가장 큰 혜택”이라고 밝혔다. 이들이 개발한 AI는 기존 방법으로는 수백 년이 걸릴 단백질 구조 예측을 대폭 단축해 신약 개발의 새로운 장을 연 것으로 평가받는다. ③ 이번 노벨 과학상은 인류의 과학 발전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수상 기준으로 삼아온 노벨위원회가 과학에서 AI의 역할을 공인했다는 의미다. 석차옥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기초과학..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