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구글딥마인드 2

AI가 민주주의를 구원할까?

① 보수-진보의 갈등이 노사 갈등, 심지어 빈부 갈등보다 심각하게 나타났다. 최근 20-30대 젊은 층에서 여성은 진보, 남성은 보수화가 두드러지는데, 위의 응답을 고려하면 이제 결혼이 점점 더 힘들어짐을 알 수 있다. 초저출산율의 첫 단추가 보수-진보의 갈등인 셈이다. ② 독일 사회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합리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공론장이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이견을 가진 사람들이 공론장에서 합리적으로 대화하다 보면 합의에 도달한다는 것이 그의 이론인데, 최근 평행선만을 그리는 보수·진보의 갈등이 이런 이론을 무력화하는 것처럼 보인다.③ AI가 해법이 될 수 있을까? 2023년에 구글 딥마인드 연구원들은 예일, 하버드, 옥스퍼드 대학 교수들과 협력해서 공동성명..

신약 설계자 AI

①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주목받는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모델이 단백질 구조 예측에 그치지 않고 생체 분자와 단백질 간 상호작용까지 예측하는 수준으로 진화했다. 신약 후보물질 설계는 물론이고 실제 효과까지 빠르게 가늠할 수 있어 신약 개발에 전환점을 예고했다.  ② 이미 확인된 수십만 개의 단백질 구조를 학습한 인공지능(AI) 모델은 아미노산 염기서열만 입력하면 가능한 단백질 구조를 빠르게 예측한다. 수개월 걸리던 작업을 순식간에 할 수 있다. ③ 단백질은 다른 생체 분자와 결합해 구조가 변하기 때문에 단백질 기능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사실상 단백질 구조만 아는 것으론 부족하다. 단백질과 비단백질 분자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④ 단백질과 생체 분자 사이의 복잡한 상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