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보수-진보의 갈등이 노사 갈등, 심지어 빈부 갈등보다 심각하게 나타났다. 최근 20-30대 젊은 층에서 여성은 진보, 남성은 보수화가 두드러지는데, 위의 응답을 고려하면 이제 결혼이 점점 더 힘들어짐을 알 수 있다. 초저출산율의 첫 단추가 보수-진보의 갈등인 셈이다. ② 독일 사회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는 합리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공론장이 민주주의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이견을 가진 사람들이 공론장에서 합리적으로 대화하다 보면 합의에 도달한다는 것이 그의 이론인데, 최근 평행선만을 그리는 보수·진보의 갈등이 이런 이론을 무력화하는 것처럼 보인다.③ AI가 해법이 될 수 있을까? 2023년에 구글 딥마인드 연구원들은 예일, 하버드, 옥스퍼드 대학 교수들과 협력해서 공동성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