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고령화사회 2

혐로 사회, 노년세대에도 책임 있다

① 마침내 올 것이 왔다. 그것도 예상보다 1년 빨리 말이다. 2024년 12월,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20%를 넘어서는 유엔 기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였다. 2000년에 고령화 사회를 맞이했던 대한민국이 2017년 고령 사회가 된 지 불과 7년여 만에 초고령 사회가 된 것이다. 이런 속도는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다. 이와 같은 추세라면 20년 뒤인 2045년에는 노인 비율이 37.3%까지 치솟을 전망이다. ② 하지만 초고령 사회의 어두운 그늘은 다른 쪽에서도 걱정이다. 노인을 바라보는 젊은 세대의 시선이 너무나 부정적인 것이다. ③ 현재 우리나라는 유난히 ‘혐로(嫌老) 사회’다. 한국형 ‘전방위 혐오 사회’의 세대판(版)인 셈이다. 노인 비하 신조어가 속출하는 가운데 ..

일본 ‘디지털 유언장’ 도입 추진

日 ‘디지털 유언장’ 도입 추진... 변호사 없이 직접 쓴다 - 조선일보 (chosun.com) 日 ‘디지털 유언장’ 도입 추진... 변호사 없이 직접 쓴다 日 디지털 유언장 도입 추진... 변호사 없이 직접 쓴다 www.chosun.com 1. 일본이 법적 효력이 있는 ‘디지털 유언장’의 도입을 추진한다. 종이에 쓰는 유언장과 달리, 온라인에서 유언장 내용을 입력하고 클라우드(가상 서버)와 같이 인터넷 공간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변호사를 통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유언장을 도입해 일반인들도 상속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것이다. 2. 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디지털 유언장은 일반인도 변호사의 도움없이 작성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만들 것”이라며 “조작을 막기위해 전자서명..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