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1560

미국 기관 x 서학개미 화력으로 코인시장 불기둥

① 비트코인이 6년 만에 1억원을 돌파한 건 미국발 매수세와 국내에서의 김치프리미엄이 더해진 결과다. ② 코인업계에서는 최근 비트코인의 랠리가 한국 기준 새벽 시간대에 미국 자본시장에서의 비트코인 ETF 매수세와 한국 기준 오전 시간대에 아시아 코인 거래소의 매수세가 서로 번갈아가며 작동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본다. ③ 향후 코인 가격이 조정받으면 김치프리미엄 폭만큼 추가적으로 하락할 수 있어 투자자들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있다. ④ 다만 여전히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매수세를 토대로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할 여력이 남았다는 의견도 나온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은 지난 8일(현지시간) 비트코인 6320개를 자사 비트코인 현물 ETF인 'IBIT'에 편입하며 총 19만5985개의 비트코인을 ..

위기의 명품 플랫폼, 360억 투자받은 ‘캐치패션’ 폐업

1. 위기의 명품 플랫폼... 360억 투자받은 ‘캐치패션’ 폐업 조인성 광고로 유명한 온라인 명품 패션 플랫폼 캐치패션이 지난 19일부로 서비스를 종료했다. 코로나 엔데믹 이후 실적이 악화하고, 추가 투자 유치가 어려워지면서 결국 서비스 종료에 이르렀다. 업계에선 보복소비가 수그러들면서 온라인 명품 플랫폼의 몰락이 시작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2. '수수료 0원' 알리의 파격 정책, 상반기까지 유지 알리익스프레스가 K-베뉴에 입점하는 판매자에 대한 수수료 면제 정책을 오는 6월까지 지속한다고 밝혔다. 이달까지만 수수료 0원 정책을 적용할 것이란 예상을 뒤집는 결정이다. 국내 판매자들을 영입하기 위한 파격적 승부수를 띄운 것으로 보인다. 3. 아프리카TV, 이름 바꿔 글로벌 도약 본격화 트위치 사업 종료 ..

유튜브 수익창출, 25%가 '쇼츠'에서 이익 낸다

1. 유튜브 수익창출, 25%가 '쇼츠'에서 이익 낸다 유튜브 파트너 프로그램(YPP)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크리에이터 중 25% 이상인 75만 명이 숏폼에서 돈을 버는 것으로 조사됐다. 조회수 비중에 따라 크리에이터에게 수익이 배분되며, 크리에이터는 쇼츠 사이에 포함된 광고 수익의 최대 45%를 받는다. 2. 당근, 창사 8년 만에 첫 연간 흑자 당근이 지난해 173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2015년 창사 이후 8년 만에 처음으로 연간 흑자를 달성했다. ‘계획된 적자’를 끝낸 쿠팡, 컬리처럼 흑자 기업에 합류했다. 당근의 실적 성장은 광고 사업이 견인했다. 광고 매출은 전년 대비 2.5배 이상 성장했다. 3. 뉴스 영상 도용 유튜브·SNS... 영리 목적은 불법 사업을 홍보하기 위한 계정을 운영하면서..

인공지능 시대의 외국어 공부

① 그럼, 이제 더는 외국어를 배울 필요가 없게 된 것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우리가 외국어를 왜 공부하는지에 따라 달렸다. ② 그저 별다른 불편함 없이 외국어로 된 정보를 습득하고, 외국인과 소통하는 것이 목적이라면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하지만 언어를 배우는 것에는 더 근본적으로 여러 이점이 있다. 언어는 우리가 사고하는 틀이다. ③ 그래서 다른 나라 말을 배우다 보면 그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자라나고,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도 넓어질 수 있다. 이렇게 서로에 대한 포용력을 높이는 것은 다문화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우리나라에 꼭 필요한 일이다. ④ 다른 공부도 마찬가지다. 많은 공부에 있어 결과 자체보다 배움의 과정이 중요하다. 인공지능은 사람의 능력을 대체해 버리고..

법원 “범죄자 코인 팔아 배상금 줘라”

① 법원이 해킹 범죄자로부터 경찰이 압수한 가상 화폐 ‘이더리움’ 1360개를 지난 1월 강제 매각한 것으로 10일 전해졌다. 당시 이더리움 시세가 개당 300만원대였으니 전체 매각 대금은 40억원대로 추산된다. 이 돈에서 해킹 피해자들이 손해배상금을 받게 돼 있다. 법조계에서는 “법원이 코인을 팔아 손해배상금을 주는 첫 사례”라는 말이 나온다. ② 대법원은 지난 2018년 “비트코인은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무형의 재산으로 몰수가 가능하다”고 판단했다. 이어 2021년 대법원은 “비트코인은 경제적 가치를 디지털로 구현해 전자적으로 이전, 저장과 거래가 가능하도록 한 가상 자산의 일종”이라며 “사기 범죄의 대상이 되는 재산적 이익에 해당한다”고도 했다. ③ 그 뒤로도 가상 화폐를 둘러싼 법적 논란은 계속됐다..

테라 권도형을 미국으로 보내라는 피해자들

① 유럽 발칸반도 소국인 몬테네그로 법원이 가상자산 테라·루나 폭락 사태 주범인 테라폼랩스 대표 권도형 씨를 미국으로 인도하라고 했다가 최근 항소심에서 이를 뒤집고 한국 송환을 결정했다. ② 권 씨는 현지 법원에 한국에서 재판받게 해달라고 요구해 왔다. 그래야 빠져나갈 구멍이 많다고 본 것인데 틀린 계산이 아니다. 그를 자본시장법상 사기 거래로 처벌하려면 코인도 주식 같은 증권에 해당한다는 전제가 필요하지만 우리는 코인의 증권성에 대한 판단을 정립하지 못한 상태다. ③ 반면 개별 혐의별 형량을 모두 합산하는 미국에선 100년형도 가능하다. 게다가 미국은 루나·테라 코인을 이미 증권으로 간주해 이익환수 소송을 진행 중이다. ④ 권 씨가 한국으로 올 경우 그의 ‘법원 쇼핑’은 성공하는 셈이 된다. 그러니 그..

지식근로자의 일, AI에만 의존하면 미래는 없다

①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이 빠르게 일상에 침투하면서 AI가 ‘지식근로자’라 불리는 화이트칼라의 업무를 상당 부분 대체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② 경영학에서 지식근로자의 일과 지식경영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에 큰 인기를 끌었다. 지식관리 혹은 지식경영(knowledge management)이라고 불리는 이 분야는 지식근로자 업무의 본질이 무엇이고 컴퓨터에 의해서 어떻게 대체 및 개선될 수 있는지가 핵심이다 . ③ 핵심적인 내용 중 하나는 기업 경영에 필요한 지식의 종류를 ‘형식지(explicit knowledge)’와 ‘암묵지(tacit knowledge)’라는 두 가지 종류로 나눈 것이다. 형식지는 지식 중에서 텍스트나 그림 등을 통해 명확히 전달하고 학습할 수 있는 지식, 즉..

전기차 대장주 테슬라 주가

① 전기차 ‘게임 체인저’로 꼽히던 테슬라가 악전고투를 거듭하고 있다. 거대 소비 시장인 중국의 수요가 눈에 띄게 줄어드는가 하면, 독일 공장에서 불이 나는 등 세계 곳곳에서 악재가 돌출하고 있는 탓이다. ② 주가 하락에는 독일 베를린에 있는 기가팩토리 공장이 좌익 극단주의 단체의 방화 공격을 받아 가동을 중단했다는 소식이 직격탄이 됐다. ③ 당분간 전기차 수요 자체가 둔화할 것이란 전망도 이어지다 보니 좀처럼 돌파구를 찾기가 힘들다는 얘기도 나온다. 테슬라는 2021년과 2022년 미국 증시 시총 5위 안에 들었지만 현재는 12위로 밀려났다. 이 때문에 미국 증시의 상승을 이끄는 7개 주요 기업을 뜻하는 ‘매그니피센트7(M7)’ 명단에서 테슬라를 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졌다. ④ 배경으로는 ‘전기차에서..

에브리싱 랠리의 시대?!

① 인류 역사에서 가장 오래된 ‘안전자산’인 금(金)과 ‘위험자산’의 대명사인 주식·비트코인 가격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②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의 가격은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이 상식이었다. 경기침체나 지정학적 위험이 부각되는 경우 위험자산에서 안전자산으로 돈이 옮겨가면서 위험자산 가격이 내리고, 안전자산 가격은 오른다. 반면 호황기에는 위험자산에 돈이 몰리면서 반대 현상이 일어난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런 공식이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③ 하지만 2022년 말부터 상황이 바뀌었다. 위험자산인 주식과 비트코인 가격은 물론, 안전자산인 금까지 거의 모든 자산 가격이 동시에 오르는 ‘에브리싱 랠리(everything rally)’가 펼쳐진 것이다. ④ 금리가 내리면 달러화가 약세..

C커머스 돌풍에 몸값 오른 판매자

1. C커머스 돌풍에 몸값 오른 판매자 한국과 중국 이커머스 싸움에 판매자 몸값이 상승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이커머스를 찾는 이유가 상품인 만큼 판매자가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K이커머스업계는 물류 종합 관리를 선언하거나 중소상공인 대상으로 매출 성장 설명회를 개최하고 나섰다. 2. 네이버, 블로그 모먼트·클립 통합해 숏폼 서비스 강화 네이버가 편집 및 탐색 기능이 고도화된 클립 에디터와 뷰어를 정식 출시하고 네이버 블로그의 숏폼 서비스 ‘모먼트’를 클립에 통합했다. 네이버는 정보 스티커 기능을 더 많은 사용자가 경험할 수 있도록 대규모 챌린지를 진행하고 해당 기능을 고도화할 예정이다. 3. TV프로그램에 협찬주명 쓴다 기업 또는 제품명이 들어간 방송 프로그램 제목을 볼 수 있을 전망이다. 정부가 협찬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