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콜럼버스 2

콜럼버스 알고보니 스페인계 유대인?

① 1492년 대서양을 건너 아메리카로 가는 항로를 개척한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스페인계 유대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스페인 매체들이 보도했다. 그가 1451년 이탈리아 제노바에서 출생한 이탈리아인이라는 기존 상식을 뒤엎는 내용이다. ② 그는 “세비야 대성당에 안치된 콜럼버스의 유해와 그의 아들 에르난도, 동생 디에고의 DNA를 분석해 본 결과 Y염색체와 미토콘드리아 DNA 모두에서 유대인과 일치하는 특성을 찾았다”고 말했다. ③ 학계 일각에서는 오래전부터 각종 역사 기록을 토대로 콜럼버스가 이탈리아인이 아니라 유대인일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논란 가운데 연구팀은 2000년대 초반부터 콜럼버스의 출신과 혈통을 연구해 이날 결과를 내놨다. ④ 하지만 이번 연구 결과가 다른 연구자들..

현대판 '알람브라 칙령'

① 그러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국 중 20개 국가에는 상속세가 없다. 그리고 나머지 18개 국가의 상속세율도 한국보다 높은 나라가 없다. 상속세가 있는 나라도 이런저런 상속세 공제와 면제가 있고, 재단을 활용한 경우 실질 상속세는 10% 내외가 대부분이다. 한국처럼 50~60%의 높은 세율로 부자의 씨를 말리려는 상속세를 보유한 나라는 전 세계에 없다. ② 1492년 콜럼버스가 스페인의 지원을 받아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였고, 같은 해에 스페인은 이슬람 세력의 마지막 보루인 그라나다를 정복하여 레콘키스타(Reconquista·국토 수복 운동)를 종결지었다. 이에 따라 스페인은 ‘해가 지지 않는 제국’을 만들며 황금기를 맞이하였다. ③ 그러나 이러한 황금기는 오래가지 못하였다. 알람브라 칙령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