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중위연령 2

한국, 2072년엔 세계2위 늙은 나라

① 48년 뒤 한국은 세계에서 2번째로 늙은 국가가 될 전망이다. 인구수는 3600만 명까지 쪼그라들 것으로 예상한다. ② 생산연령인구보다 생산연령인구의 부양을 받아야 하는 고령인구가 더 많아질 거라는 의미다. 생산연령인구는 고령인구뿐만 아니라 유소년인구(0~14세, 2072년 6.6%)도 부양해야 한다. 같은 기간 한국 인구의 중위연령은 46.1세에서 63.4세로 많아질 것이라고 예측된다. ③ 2072년 한국의 고령인구 구성비(47.7%)는 세계 236개 국가(지역 포함) 가운데 홍콩(58.5%)과 푸에르토리코(50.8%)에 이어 3번째로 높을 거란 관측이다. 국가 기준으로 홍콩을 제외하고 보면 한국 순위는 2위로 올라간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늙은 국가가 된다는 이야기다. ④ 이런 예측의 배경에는 세..

현재의 한국 사회를 설명하고 이해하는 중요한 변수, 중위연령

① 그 ‘워낙에 해오던 것’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찾아보면 고작 20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당시 변화하는 환경에 따르기 위해 땜질처방처럼 도입된 것들이 많다. 하지만 땜질로 탄생한 과거의 유산들이 이제는 절대 바꿀 수 없는 어떤 도그마가 되어 버렸다는 느낌을 받는다.  ② 우리 사회의 중위연령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중위연령이란 전체 인구를 나이 순서로 나열했을 때 한가운데 있는 사람의 나이를 뜻한다. 1976년 20세였던 한국의 중위연령은 1997년 30세, 2014년 40세를 거쳐 올해는 46.1세가 됐다.③ 이후 30년간 빈 도화지 같던 우리나라에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의 산업과 조직이 만들어지면서 그때마다 중위연령을 넘는 사람들은 사회의 오피니언 리더가 되었다. ④ 지금의 586세대가 한국..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