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픈소스 2

공산당의 '오픈소스' 전략?

① MS는 윈도에 익스플로러를 끼워 파는 마케팅 전략을 동원해 시장을 무섭게 잠식해 갔다. 궁지에 몰린 넷스케이프는 1998년 프로그램 설계도인 소스 코드를 공개하는 승부수를 던졌다. 더 많은 개발자가 기능 개선에 참여하는 집단 지성을 기대한 것이다. 넷스케이프는 이를 ‘오픈 소스’ 방식이라고 이름 붙였다. ② 오픈 소스는 MS가 대표하는 상업용 폐쇄 체제와 함께 IT(정보 기술) 역사의 양대 축을 차지해 왔다. 컴퓨터 운영체제인 리눅스, 스마트폰 운영체제인 안드로이드가 대표적 오픈 소스다. 오픈 소스로 공개된 개발 코드는 전 세계 수많은 개발자의 손에서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재탄생했다. ③ 소프트웨어를 힘들게 만들었지만 이를 공개해 생태계를 키우고 시장을 확대하겠다는 것이다. 나만 잘 먹고 잘 살겠..

어떤 경우에 기술독점보다 기술공개가 더 나은 판단일까?

① 인공지능(AI)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해 왔다. 그 비결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공개의 문화’ 덕분이라 입을 모은다. ② AI 모델을 공유하는 세계적 플랫폼으로 ‘허깅페이스’가 대표적이다. 지난 9월 허깅페이스는 자사 플랫폼에 등록된 공개 AI 모델 수가 백만 건이 넘었다고 발표했다. 놀라운 일이다. 이처럼 공개된 수많은 AI 덕분에 전 세계 많은 이들이 연구를 수행하고, 새로운 분야에 응용할 수 있게 되었다. ③ 오픈AI는 과거와 달리 더 이상 챗GPT의 내부 구조, 학습 방법, 학습 데이터에 관한 세부 사항을 공개하지 않는다. 유료 AI 서비스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불가피한 것일 수도 있다. 하지만 모든 AI 기업이 이러한 변화에 따르는 것은 아니다. 여전히 구글, 메타 등 빅테크 기업이나 여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