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아담스미스 2

리스트가 트럼프에게

① 경제학의 비조 애덤 스미스는 『국부론』에서 ‘보이지 않는 손’을 한 번 언급했다. 높은 관세나 절대적 금지에 의해 외국산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에 반대하면서다.  ② 스미스는 수입 억제와 수출 장려로 국부를 증진하겠다는 중상주의에 대해 제조업자의 이익을 위해 소비자의 이익을 침해한다는 이유로 반대했다. ③ 스미스가 다 옳지는 않다. 국가가 보호관세를 통해 유치 단계인 자국 산업을 육성하는 일은 필요했다. 독일 경제학자 프리드리히 리스트(사진)가 그렇게 주창했다. 독일에 이어 일본과 한국이 산업 발전에 이 정책을 활용했다. ④ 20일 취임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보이지 않는 손’보다 ‘보이는 손’을 내세운다. 트럼프가 선호하는 수단이 관세다. 그는 ‘가장 위대한 발명품’인 관세를 올리겠..

인간은 이기적일까? 이타적일까?

인간은 이기적일까, 이타적일까… ‘최후통첩 게임’이 내놓은 놀라운 답 - 조선일보 (chosun.com) 인간은 이기적일까, 이타적일까… ‘최후통첩 게임’이 내놓은 놀라운 답 인간은 이기적일까, 이타적일까 최후통첩 게임이 내놓은 놀라운 답 WEEKLY BIZ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실험으로 확인된 인간의 본성 www.chosun.com 1. 경제학과 경영학은 모두 각자의 이익을 추구할 때 사회 전체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애덤 스미스의 ‘보이지 않는 손’이 바로 이 개념이다. 따라서 인간이 이기적이지 않음을 보여주는 실증적인 증거가 나온다면 경제학의 기본 토대가 흔들릴 수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연구로 독일 훔볼트 대학의 최후통첩 게임이 있다. 2. 최후통첩 게임에서 피실험자..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