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불안 2

실패할까 불안해도 새로움 찾아야 나아간다

① “슬픈 사실이지만, 이 세상엔 분명히 수많은 ‘불안’이 존재합니다. 우린 바로 그런 점을 이용(played on)했어요.” ② “내가 자신의 영화의 첫 번째 관객인 만큼, 작품 제작 시 모든 기준을 매우 높게 잡는다. 우리가 느끼는 가장 큰 압박은 언제나 내부에서 온다” ③ “성공을 의도적으로 좇으려 하진 않는다”며 “그럴 경우 안전지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성적을 낼 수 없기 때문” ④ 하지만 스튜디오 수장들은 ‘기술도 중요하지만, 결국 중요한 건 이야기’라는 입장이었다. ⑤ “기술은 콘텐츠를 만들고 전달해왔다”라며 “하지만 사람들은 단순히 놀라운 기술 발전을 보는 것보다 좋은 스토리텔링을 더 선호한다”

불안의 대물림

① ‘불안’은 등장과 동시에 다른 감정들을 억압하고 라일리의 마음을 장악한다 ② 불안에 잠식당한 라일리는 스스로에게 끊임없이 되뇐다. “나는 부족해(I’m not good enough)”. ③ 남과 비교하며 자신을 끝없이 몰아붙여온, ‘불안’에게 마음의 조종간을 내어준 스스로를 돌아볼 수밖에 없었을 테다. ④ 몸집을 불린 불안이 만든 절대 명제가 한국 사회를 잠식했다.  ⑤ 불안의 숙주로 사는 것이 당연한 사회를 굳이 새로운 세대에게 물려줄 필요가 있을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