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1595

프랑스, EU역할 줄어들 것

① 서구 언론은 이번 총선 결과로 프랑스가 상당 기간 정치적 혼돈에 휩싸여 전과 같은 역할을 하지 못한다면 유럽과 서방 전체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② 독일 언론은 “프랑스의 정치적 교착 상태로 독일과 유럽연합(EU)은 더는 강력한 파트너로서 프랑스에 의존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③ 뉴욕타임스는 “독일·벨기에·이탈리아 등 다른 유럽국들과 달리 프랑스는 견해가 다른 정당 간에 복잡한 연립정부를 구성하기 위해 수개월간 협상한 전통이 없다”고 전했다. ④ 서구 언론은 프랑스의 좌파연합이 비교적 친유럽적이며, 러시아와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에 대한 변함없는 지원 의사를 밝혀 왔다고 평했다. 그럼에도 “이번 총선 결과로 프랑스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계속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예단하기 어..

중국의 북한 길들이기

① 미국이 영변 핵시설 폭격을 준비하던 때였다. 최광을 만난 장쩌민 중국 국가주석은 핵무기 개발 자제를 요구하면서도 ‘순망치한(脣亡齒寒)’이라는 말로 북한을 안심시켰다.  ② 정전 이후 1인 절대권력 구축에 나선 김일성은 남로당파·소련파에 이어 친중 연안파를 무자비하게 숙청했다.  ③ 1956년 연안파 숙청 직후 마오쩌둥 주석은 중국을 찾은 북한 고위층에게 “당신들 당내에는 공포가 넘쳐흐르고 있다. 한국전쟁은 해서는 안 될 일이었다고 (김일성에게) 주의를 준 적이 있다”며 불만과 경고를 전했다.  ④ 북한은 때마침 중국과 소련의 관계가 악화일로로 치닫자 그 사이에서 ‘양다리 외교’를 펼치며 이득을 챙겼지만 문화대혁명으로 다시 중국과 충돌했다.  ⑤ 최근 중국이 10만 명에 달하는 북한 외화벌이 노동자를 ..

연판장

① 후한 황제 헌제의 신하 동승은 권력자 조조를 제거하기 위해 연판장을 만들었다. 유비와 마등 등 반(反)조조 세력이 대거 서명했다. 하지만 조조 암살 계획이 주변의 밀고로 들통나면서 유비를 제외한 700명이 떼죽음을 당했다. 최초로 기록된 연판장 파동이다. ② 연판장(連判狀)은 여러 사람이 이름을 잇달아 서명하거나 도장을 찍은 문서다. 서양에선 원형으로 서명한 연판장을 ‘라운드 로빈(Round Robin·둥근 리본)’이라고 불렀다. 원형으로 이름을 쓰면 그것만으론 주모자가 누구인지 알 수 없다.  ③ 일본에선 막부 시대 영주들의 무리한 세금 징수와 무자비한 처벌 등에 반발해 농민들이 연판장을 돌렸다. 센다이 영주 다테 쓰나무네는 연판장으로 자리에서 쫓겨났다. 하지만 연판장 맨 앞에 서명한 사람은 주모자..

하이엔드 중국

① 중국은 수천 년간 외국에서 공물을 받고 하사품을 주는 조공(朝貢) 무역을 했다. 조공 체제를 유지한 힘 중 하나는 중국산 하이엔드(high end·최고 품질) 물건이었다. 주변국들은 조공을 통해서만 도자기, 종이, 비단, 의약품, 과학기구 등 당대 최고 물품을 접할 수 있었다.  ② 차이나 룸의 규모가 부의 척도로 여겨질 정도였다. 인쇄술·화약·나침반을 발명한 기술 선진국 중국이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유럽에 뒤처졌다. ③ 이후 인공지능(AI), 우주항공, 양자컴퓨터 등 최첨단 분야의 기술 굴기와 더불어 ‘대륙의 실수’ 영역이 나날이 확장되고 있다. ④ 싸구려 가전의 대명사였던 중국 하이얼은 2016년 GE 가전사업을 인수한 후 명품 기업으로 변신했다. ⑤ 10년 전 “중국 전기차는 후지다”고 조롱했..

원영적 사고는 케 세라 세라?!

① 걸그룹 아이브(IVE)의 장원영이 보여준 초긍정적 사고를 뜻하는 '원영적 사고'가 선순환의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원영적 사고는 부정적인 것마저 오히려 좋게 받아들이려는 태도에 해당한다. ② 젊은 세대의 취향을 저격한 원영적 사고와 유사한 것으로 '케 세라 세라(qué será será)'가 있다. ③ 이루어질 일은 결국 이루어진다는 긍정과 희망의 전언에 가깝다. 될 일은 될 테니 우리는 그저 할 일을 하면 된다는 의미 말이다. ④ 지금 여기에서 최선을 다한다면 바라는 바를 이루리라는 것이 '케 세라 세라'의 요체다. ⑤ 새옹지마 인간사에서 우리가 할 일은 일희일비하지 않고 어려운 상황에 부닥치더라도 평정심을 유지하는 일인지도 모르겠다.

테크놀로지와 도덕

① 지난주 서울시청역 부근에서 역주행 대형 교통사고로 9명이 사망한 참사가 있었다. 운전자가 주장하는 급발진 여부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② 더구나 급한 상황 판단을 해야 할 경우에 대비해 자율주행을 관할하는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에 대한 윤리적인 문제도 논란이 되고 있다. ③ 그 유명한 ‘트롤리 딜레마(Trolley Dilemma)’가 더 이상 단순한 윤리 사고 실험 문제가 아닌 것이다. ④ 게다가 이러한 딜레마의 해결책은 나라마다, 문화 배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⑤ AI는 궁극적으로 자기가 무엇을 모르는지를 모른다. 질문에 답할 뿐이다. 기술적 해결은 완벽한 답이 될 수 없다. 인간의 고귀한 노력을 제거해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발상 자체가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닐까.

TV토론 이후에 트럼프 테마주 후끈?!

① 오는 11월 5일 미국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지난달 27일 열린 대선 후보 TV 토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완승’을 거두며 주식시장에서도 트럼프 테마주가 들썩이고 있다. ② 대표적 트럼프 수혜주로 꼽히는 금융, 국방, 에너지, 헬스케어 부문은 TV 토론 이후 상승세를 나타냈다. 트럼프 2기는 지난 5년간 바이든 행정부가 추진한 정책을 대부분 부정하는 ‘애니싱 벗 바이든(ABB·anything but biden)’을 강조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신재생에너지 등 바이든 관련주는 큰 폭으로 하락했다. ③ “트럼프는 미국을 주요 원유 생산국으로서의 지위를 강화하는 것 이외에 금리 인하, 법인세율 인하, 국방지출 강화 등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④ 규제개혁에 따른 기대로 오른 섹터들도 있다. 비트코인 채..

지역화폐 존폐 위기

① 정부에서 내년도 지역화폐 예산을 전액 삭감하기로 하면서 일선 지방자치단체들이 고민에 빠졌다. 지역화폐가 2017년부터 당시 정부 정책에 따라 본격적으로 플랫폼을 구축하면서 소비 진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를 누렸으나 불과 10년도 안 돼 존폐 기로에 섰기 때문이다. ② 특히 내년에는 행정안전부가 지역화폐 예산을 한 푼도 넣지 않으면서 사실상 지역화폐의 국비 지원이 '0'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7일 지자체들에 따르면 상당수 광역단체가 국비 지원 축소로 인해 지역화폐를 아예 없애거나 기능을 대폭 줄이고 있다. ③ 부산시도 지역화폐인 '동백전' 기능을 크게 축소했다. 동백전의 사용도가 높은 공공배달앱 '동백통' 사업을 앱 출시 2년 만인 지난 5월 종료했다. 당초 44억원을 들여 플랫폼을 구축했으나 ..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는 트럼프의 귀환

① 미국 대통령 선거를 4개월 앞두고 트럼프 전 대통령의 승리 가능성이 점증함에 따라 미국 국내 정국이 요동치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귀환을 어떻게든 저지하고자 반트럼프 전선의 선봉에 서서 적대적 여론 조성에 앞장서 온 미국의 대다수 주류 언론은 거의 패닉 상태다. ② 심각한 고령 리스크를 안고 있는 바이든 후보와 4건의 형사 사건 기소 리스크를 안고 있는 트럼프 후보 사이의 이번 대결은 오래전부터 바이든 리스크와 트럼프 리스크 중 어느 리스크가 덜 치명적인지를 가리는 선거가 되어 왔다. ③ 이대로 가면 트럼프의 백악관 복귀가 불가피한 현실이 되리라는 전망에 반트럼프 진영은 물론 유럽과 아시아의 동맹국들도 초긴장 상태다. ④ 이제는 트럼프의 복귀 가능성을 엄중한 현실로 인정하고 제2기 트럼프 행정부..

비트코인은 바보들의 금이다?

① 미국 월가의 조롱을 받던 비트코인은 15년 만에 위상이 완전히 바뀌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 1월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를 공식 승인했다. 홍콩 정부도 지난달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 출시를 승인했다. ② 아모스 교수는 정부가 비트코인의 확산을 막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비트코인은 정부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으며, 정부 규제가 강화될수록 오히려 그 가치가 더 빛을 발해 급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③ 그는 지난 5월 한국에 출간된 『더 피아트 스탠다드(The Fiat Standard)』를 통해 무한정 돈을 찍어내는 정부와, 시간이 지나면 가치가 떨어지는 법정화폐(법화) 사이의 ‘통화가치적 모순’에 대해 지적했다. 법정통화 본위제는 미국 정부가 금 태환 의무를 사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