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① 유리병 기계가 보급된 뒤 베네치아 유리 장인 등 전 세계 유리 숙련공이 반으로 급감했다. 반면 유리 공장에 만연했던 아동 노동은 없어졌다.
② 17세기 산업혁명은 공장 자동화의 전환점이 됐다. 영국 발명가 올리버 에번스가 만든 자동 제분기는 밀가루를 만들던 유럽 풍차를 관광용으로 만들어 버렸다. 1920년대 전기의 등장과 미국 포드 시스템은 공장 풍경을 180도 바꿨다. 2차 세계대전 여파로 구인난에 시달리던 포드 자동차는 컨베이어 벨트와 무거운 부품을 옮겨주는 기계손(iron hand)을 도입하고, 이 생산 공정을 ‘오토메이션(automation)’이라고 명명했다.
③ 로봇 공학자들 사이에선 “미래의 공장엔 개 한 마리와 사람 한 명만 있으면 된다. 개의 임무는 사람이 기계에 손대지 못하게 지키는 것이고, 사람의 임무는 그 개에게 먹이를 주는 것이다”라는 농담이 있었다. 그런데 인공지능(AI)과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의 발전으로 이것이 더 이상 농담이 아니게 됐다.
④ ‘개 한 마리, 사람 한 명 공장’의 등장이 멀지 않았다. AI와 휴머노이드, 각종 센서로 구성된 사물인터넷(IoT) 기술 덕에 생산이 100% 자동화된 공장은 조명도 필요 없어 ‘다크 팩토리(dark factory)’라 불린다.
⑤ 중국 샤오미는 이미 이런 수준의 다크 팩토리를 구축, 컴컴한 생산 라인에서 초당 1대꼴로 최첨단 스마트폰을 찍어내고 있다. 기술 발전 속도가 무서울 정도다. 다크 팩토리의 등장은 인류에게 행복일까, 재앙일까.
728x90
반응형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번역기가 대신할 수 없는 것 (0) | 2025.04.03 |
---|---|
'무지의 베일'을 쓰자 (0) | 2025.04.03 |
한국은행이 법인세 1위 (2) | 2025.04.02 |
민주주의는 폭력 아닌 투표로 나라 바꾼다 (0) | 2025.04.02 |
문제는 공화주의야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