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 1520

외모 강박, 자기혐오가 낳은 괴물 <서브스턴스>

① 50세 생일날 방송사 필라테스 쇼에서 해고 당한 퇴물 스타 엘리자베스 스파클(데미 무어)은 자존감을 회복하겠다는 강박 속에 수상한 주사약을 맞고 20대 미녀 수(마가렛 퀄리)로 재탄생한다. 그러나 영혼이 없는 수가 본체를 완전히 장악하려 들면서 기괴한 신체 변형 참극이 펼쳐진다.② “여자 나이 쉰이면 끝난 것” “저런 코를 달고 있을 바엔 그 자리에 가슴이 달린 게 낫겠다” 등 쇼비즈니스계의 외모 지상주의를 신랄하게 풍자한 대사가 가득하다. 무어는 전라를 불사하며 광기어린 연기를 펼친다.③ 엘리자베스가 뒤틀린 외모 강박에 시달리며 완벽해지려 할수록 사태가 악화한다. 그럼에도 멈추지 못하는 건 노쇠한 자신에 대한 혐오, 세상이 정한 잣대에 대한 집착 때문이다.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더 나은 나’가 된..

제왕적 대통령제와 87년 체제의 종언

① 12·3 비상계엄 사태의 직접적 원인은 윤석열 대통령의 시대착오적이고 편집적 정치 인식이다. 하지만 이 사태는 얼굴이 여럿이다. ②  1945년 한국은 세계 최빈 약소국이었다. 지금은 세계 국력 순위 6위, 군사력 순위 5위다. 해방 79년 만에 선진국을 넘어 강대국 반열에 올랐다. 하지만 이번 사태로 미 포브스지는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옳고, 일본의 잃어버린 30년을 따라갈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문제는 정치다. ③ 마지막으로 한국 민주주의의 위기상이다. 이번 사태로 한국 민주주의의 부끄러운 민낯이 여실히 드러났다. 하지만 ‘87년 체제의 취약성과 잠재력을 동시에 보여줬다. 대통령 한 사람의 허술한 도박에 “순식간에 군부 반란이 판치는 아프리카·남미의 후진국”으로 떨어졌지만, 또한 기적같이 순..

계엄사태 후 시총 144조 증발

①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 불발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더욱 증폭됨에 따라 국내 금융 시장도 불안감을 견디지 못하고 주저앉고 말았다. 개인 투자자들의 ‘패닉셀’(공포 매도)에 코스피는 연저점을 경신했고, 코스닥은 630 선까지 내주면서 4년 8개월 만에 최저치를 찍었다. 정치적 혼란이 가중되고 연말 소비 심리가 악화되면서 내수 침체에 대한 우려도 짙어지고 있다. ② 그간 증시를 떠받쳐 온 개인 투자자가 8900억 원 상당의 주식을 순매도 하면서 증시를 끌어내렸다. 코스닥은 이날 하루 만에 5.19%나 빠지면서 4년 8개월 만에 630 선을 내줬다. ③ 9일 장 마감 시점 기준 코스피와 코스닥의 시가총액은 2246조 원으로 계엄 선포 이튿날인 4일 이후 144조 원 넘게 쪼그라들었다. 시총 기준으로 현대자..

계엄령(martial law) 영어 표현

① 계엄령을 영어로는 martial law라고 한다. 비상계엄령은 앞에 ‘비상(非常)을 뜻하는 emergency를 덧붙여 emergency martial law라고 표현한다. ② 이때 Mars는 태양계 행성(planet in the solar system) 중 하나인 화성(火星)이 아니라 로마 신화(Roman mythology)에 나오는 전쟁의 신 Mars를 말한다. ③ 따라서 martial은 지금도 전쟁(warfare), 물리적 충돌(conflict), 군대(armed forces), 무력(military force), 무용(武勇·military prowess), 군인(soldiers) 등을 상징 또는 묘사할 때 사용되고 있다. ④ 로마 전쟁의 신이 Mars였다면, 그리스 전쟁의 신은 Ares였다. 그..

윤석열, 탄핵표결 하루전 박선영 임명 논란

① 윤석열 대통령이 국회의 1차 탄핵소추안 표결 하루 전인 6일 박선영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장을 임명한 것을 두고 야권에서 “일종의 ‘보험’을 든 것 아니냐”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윤 대통령이 임명한 정형식 헌법재판소 재판관은 박 위원장의 제부이고 보수 성향으로 분류된다. 이에 야당은 ‘9인 체제’를 회복하기 위해 이달 말 헌재 재판관 3명의 인사청문 절차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② 여권 안팎에서는 윤 대통령이 하야를 선언하지 않고 탄핵심판에 대비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특히 현재와 같은 헌재 재판관 6인 체제에서 탄핵 결정이 나오려면 재판관 6명 전원이 찬성해야 하는데 이를 염두에 두고 윤 대통령이 기각 결정을 기대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③ 다만 탄핵심판은 재판관 6인 이상의..

집 안의 저승 문, 욕실

① 작년 겨울 일본에 온천 여행을 갔던 한국인 3명이 목숨을 잃었다. 직접사인은 심근경색 등으로 밝혀졌지만 이른바 ‘히트(heat) 쇼크’가 촉발 요인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히트 쇼크는 추운 곳에 있던 사람이 욕실처럼 따뜻한 곳에 들어가면 혈압이 뚝 떨어지며 현기증을 느끼거나 심하면 실신하는 현상이다. ② 이때 넘어지면서 욕조나 변기, 세면대에 부딪혀 골절이나 뇌진탕 같은 심각한 부상을 당한다.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을 일으키기도 한다. ③ 영화 ‘러브 레터’로 유명한 일본 배우 나카야마 미호가 지난 6일 집 안에서 사망했다. 조사 결과 사인이 욕조 내 익사로 밝혀졌다. 평소 건강이 좋지 않았던 미호도 히트 쇼크로 변을 당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④ 거의 대부분 집에 욕실이 있는 우리나라도 욕실 사고가..

미국이 전두환 제거하려다 중단했다

① “미국은 1979년 12·12 사태를 반란으로 규정해 전두환을 예편시키려 했으나, 한국군 내의 지지가 예상 외로 탄탄한 것으로 보고 계획을 바꿨습니다. 바로 전두환 암살이었죠.” ② 그 직후 미국 측에 포섭된 일부 한국 군인들은 전두환의 집 주변을 감시하며 호시탐탐 저격 기회를 노렸다. 위험을 눈치챈 전두환은 세 차례나 거처를 옮기며 경비를 강화했다. 초조해진 암살조는 자동차 사고로 위장한 암살을 계획하고 여러 차례 현지 답사와 모의 훈련까지 했으나 결국 실행되지 못했다는 것이다. ③ “하지만 전두환보다 더 강한 리더십을 지닌 군부 내 실력자를 확보하지 못했고, 전두환 역시 전면에 나서지 말라는 미국의 요구를 일시 수용하는 노련한 태도를 보였습니다.” 그 결과 12·12부터 5·17 비상계엄 확대 조..

기술주는 저가매수 노려야, 우버, 아마존, 그랩 담을 차례

① “기술주 투자에서 큰 변동성은 투자자들에게 저가 매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② 마크 마하니 에버코어ISI 애널리스트(사진)는 11일 “불가피한 시장 상황으로 주가가 하락한 이른바 ‘이탈한 우량주’를 찾아 저가 매수하는 게 좋은 전략”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③ 기술주 ‘톱픽’(최선호주)으로는 우버, 아마존, 그랩 등을 꼽았다. 사업 성장성 대비 주가가 저평가됐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우버는 테슬라 로보택시와 구글 웨이모의 자율주행이 발달하면서 사업이 둔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면서도 “하지만 지속적으로 30% 이상 잉여현금흐름이 나오고 있고 (차량공유 수익 이외) 광고 수익도 늘어나면서 플랫폼 기업으로 진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④ “구글, 아마존, 메타 등 빅테크가 2000억달러(약 28..

올해의 고사성어, 도량발호

① 대학 교수들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제멋대로 권력을 부리며 함부로 날뛴다’는 뜻의 도량발호(跳梁跋扈)를 택했다. 이 사자성어를 제안한 교수는 “권력자들이 국민 대신 자신이 마치 권력의 원천인 것처럼 행동하고 있어 이 사자성어를 추천했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② 9일 교수신문은 전국 대학교수 10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도량발호’가 올해의 사자성어 1위(450명·41.4%)로 꼽혔다고 밝혔다. 교수신문은 매년 12월 교수들의 추천과 투표를 거쳐 올해의 사자성어를 선정한다. ③ 이번 투표는 지난달 25일부터 비상계엄 사태 전날인 이달 2일까지 진행됐다. 도량발호는 ‘도량’(거리낌 없이 함부로 날뜀)과 ‘발호’(권력을 제멋대로 부리며 날뜀)가 결합돼 조선시대부터 사용된 사자성어다. ④ 도량..

트럼프 "동맹국이 비용 더 내야 나토 남을 것"

① 대성당에서 열린 재개관식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질 바이든 미국 대통령 배우자,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등 30여 국 정상과 정부 수반이 참석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이 직접 성당 앞마당에 나와 이들을 맞이했다. 트럼프 당선인에겐 당선 후 첫 해외 방문이다. 최근 트럼프의 '퍼스트 버디(가장 친한 친구)'라 불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동행했다. ② 젤렌스키는 이날 프랑스 대통령 관저인 엘리제궁에서 마크롱 및 트럼프와 만났다. 젤렌스키는 회동 후 소셜미디어에 "트럼프는 언제나처럼 단호했다. '힘을 통한 평화'는 가능하다"고 적었다. '힘을 통한 평화'는 강력한 군사·경제력을 통해 평화를 유지하겠다는 트럼프 당선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