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난 체하고 경쟁심 불타던 소년 세종은 어떻게 좋은 왕 됐나 [박현모의 실록 속으로] (chosun.com)
<요약>
1. 한글박물관의 ‘세종 나신 날’ 기념 특강을 위해 왕 되기 전 세종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세종 이도(李裪)가 태어난 1397년 4월 10일(양력으로 5월 15일)부터 즉위년인 1418년 8월까지 실록 기사 40여 건을 찬찬히 되읽었다.
2. 유독 눈에 띈 구절은 “너는 관음전에 가서 잠이나 자라”라는 세자 이제(李褆·양녕대군)의 말이었다. 태종 16년째인 1416년 9월의 어느 날, 세자는 동생들을 데리고 할머니 신의왕후 한씨의 제사를 위해 지금의 서울 종로구 혜화동에 있던 흥덕사에 갔다. 향 피우기를 마친 세자는 그곳에서 몇 사람과 더불어 바둑을 두기 시작했다. 함께 따라간 충녕이 한마디 했다. “세자의 몸으로 간사한 소인배들과 바둑 놀이를 하는 것도 안 될 일인데, 더군다나 오늘은 할머니 제삿날 아닙니까”라고. 이 말을 들은 양녕이 짜증스러운 표정으로 “너는 가서 잠이나 자라”고 했다. 강의를 들은 학생은 양녕의 이 말을 ‘너, 재수 없어’로 통역했다.
3. 10대 세종의 ‘재수 없는 언행’은 이 외에도 여럿 나온다. 그해 설날 즈음 세자 이제는 새로 맞춘 설빔을 차려입고 주위 사람들에게 “어떠하냐?”고 물었다. 대뜸 충녕이 나서서 대답했다. “형님, 먼저 마음을 바로잡은 뒤[先正心] 용모를 닦으셔야죠[後修容].” 기록에 나타난 어린 시절의 세종은 한마디로 왕따 대상이 되기 쉬운 청소년이었다. 그는 잘난 체하는 왕자이자 일러바치기 잘하는 사람이었다. 비만하고 편식하는 아이였으며 운동도 못했다.
4. 충녕의 경쟁적 언행은 다분히 부왕 태종의 관심을 끌기 위한 것이었다. 종친과 대신들이 모인 경회루에서 열린 술자리에서 충녕은 한껏 학문을 뽐냈는데, 아니나 다를까 태종은 세자를 돌아보면서 “왜 너는 학문이 이만 못하냐?”고 꾸짖었다. 이뿐만이 아니었다. 외삼촌 민무회에게 안 좋은 말을 들은 충녕은 즉시 부왕 태종에게 그 사실을 알렸는데, 그 일로 외갓집이 풍비박산되고 말았다.
5. 그렇게 불완전하고 결함 많은 이도가 어떻게 훌륭한 리더로 변화할 수 있었을까? 그 요인의 하나는 ‘세종 백독(世宗百讀)’이다. 그는 좋은 책을 골라 백 번씩 읽으면 세상 이치를 꿰뚫을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고전을 반복해서 읽었다.
6. 다른 하나는 훌륭한 스승의 존재다. 이수(李隨)와 김토(金土)가 대표적 스승인데, 세종에 따르면 “이수는 오가면서 진강(進講)했고, 김토는 더불어 종일토록 강론한” 스승이었다. 왕위에 오른 직후 세종의 제일성이 ‘의논하자’였던 것은 김토에게서 배운 종일 토론을 배경으로 하고 있었다.
7. 충녕을 변화시킨 마지막 요인은 백성을 직접 만나 그들의 처지에서 정치를 바라본 경험이다. 궁궐 밖 미행은 세자 시절에도 계속되었다. 그 과정에서 백성들의 고통과 기쁨, 그리고 국왕이, 정치가 왜 존재해야 하는가를 깊이 깨달았다. 왕위에 오르기 전에 그가 맞닥뜨린 여러 큰 곤경을 이겨내는 힘은 바로 거기에서 나왔다.
<생각과 느낌>
그렇게 불완전하고 결함 많던 이도는 어떻게 역사상 최고의 성군, 세종대왕이 될 수 있었을까요?
- 세종백독 - 좋은 책을 골라 백 번씩 읽으면 세상 이치를 꿰뚫을 수 있다는 믿음으로 고전을 반복해서 읽음
- 훌륭한 스승의 존재
- 백성을 직접 만나 그들의 처지에서 정치를 바라본 경험
독서 습관과 훌륭한 스승, 그리고 본질을 깨달으려고 하는 타산지석의 자세였습니다.
'알아두면 쓸데있는 기사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위 1% 부자가 목표라면? 순자산은 어느 정도? (2) | 2023.05.25 |
---|---|
구찌, 경복궁 근정전서 첫 패션쇼! (2) | 2023.05.24 |
어린 시절의 역경은 수명을 더 짧아지게 한다? (0) | 2023.05.22 |
국정원이 요원 노출을? (0) | 2023.05.21 |
수퍼컴이 찾은 300만년간 인류 생존 비결은? (2) | 2023.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