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나는 1945년 5월 1일 총성이 울리는 베를린에 서 있다. 오늘 나치의 국민계몽선전장관 파울 요제프 괴벨스가 여섯 자녀(1남 5녀) 전부를 살해한 뒤 부인 마그다와 함께 극단적 선택을 한다. 자식들을 몰살시키는 과정에 마그다가 괴벨스보다 더 적극적이었다고 하는데, 히틀러 없는 세상에서는 살 필요가 없다는 게 이유였다. 전 남편과의 사이에 1남을 둔 이혼녀 마그다는 괴벨스를 만나기 전부터 히틀러의 사생팬이었다.
② 히틀러 집권 출발기인 1933년 5월 10일 괴벨스는 ‘베를린 서적 소각 사건’을 일으킨다. “책을 불사르는 것은 오직 시작일 뿐이다. 그런 곳에서는 결국 인간을 불태울 것이다”라고 예언한 이는 1856년에 죽은 시인 하인리히 하이네였다. 히틀러의 사탄이 되기 전 괴벨스는 실업자이자 지식인이었다.
③ 오른발이 왼발보다 짧아서 걸음을 절었던 그는 문헌학 박사이자 불태울 만한 가치가 없는 소설 ‘미하엘’을 쓴 작가였다. 그가 무의미한 소설가였던 것은 실패한 화가였던 히틀러의 억하심정(抑何心情)과 오버랩된다.
④ 괴벨스는 비록 하루뿐이었지만 독일 제3제국의 제2대 총리로 살았다. 히틀러가 죽으며 그를 자신의 후임으로 임명해서였다. 괴벨스의 진면목은 인류사가 공인하는 ‘대중 파시즘의 선구자’에 있다. 괴벨스는 이 분야의 원천 기술이자 사도 바울이다.
⑤ 영향력만 따진다면 그는 좌익이든 우익이든 현대 정치와 현대사회 안에 엄청난 수의 제자들과 자발적 노예들을 거느리며 이 세계를 지배하고 있다. 마르크스가 부럽지 않고 공맹(孔孟)에 꿀리지 않는다. 히틀러는 죽었지만, 괴벨스는 영생(永生)을 얻었다.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력남'보단 '듬직남' (0) | 2025.05.04 |
---|---|
시간 관리 못하는 팀장이 팀을 망친다 (0) | 2025.05.04 |
콜럼버스와 달리, 중국의 정화는 왜 빈손이었나 (1) | 2025.05.03 |
트럼프 관세 뒤엔 미국 제조업 쇠락 (3) | 2025.05.03 |
'패밀리 비즈니스'로 망가진 국가기관 (1)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