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① 은행과 거래하는 금융소비자의 평균 금융자산이 처음으로 1억원을 돌파했다. 예·적금 등 저축 비중이 줄어들고 주식 등 투자 비율이 확대됐다. 금융자산은 증가했지만 기혼 가구 10가구 중 8가구는 노후 대비가 불안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가 15일 발표한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2025’에 따르면 작년 금융소비자의 평균 금융자산은 1억178만원이었다. 2023년(9049만원)보다 1000만원 이상 늘어나 1억원대에 진입했다. 금융소비자는 본인 명의 은행 계좌를 개설해 이용하는 사람을 일컫는다.
③ 특히 30대 밀레니얼 세대(29∼43세)가 투자에 적극적이었다. 밀레니얼 세대의 금융자산 중 투자 자산 비중은 2023년 22%에서 2024년 28%로 전 세대 가운데 증가폭이 가장 컸다.
④ 금융소비자들은 올해도 적극적인 투자를 계획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해외 주식 등 해외 금융상품을 선호했다. 가상자산 투자 의향도 지난해 1.6%에서 올해 3.4%로 2배 이상 늘었다. 반면 국내 주식과 펀드 투자 의향은 지난해보다 줄었다.
⑤ 하나금융연구소는 “노후 준비가 충분하면 부동산과 투자상품, 개인연금 활용 의향이 높았지만 반대인 경우 국민연금이 절대적이었고 퇴직연금과 주택연금 의존도가 높았다”고 설명했다.
728x90
반응형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대교체론 불 지피는 한동훈과 이준석 (0) | 2025.02.04 |
---|---|
오늘 헌재 결정 앞두고, 최고조에 달한 '마은혁 논쟁' (0) | 2025.02.04 |
이웃 국가부터 미 우선주의 압박 (0) | 2025.02.04 |
70세 맞은 빌 게이츠 첫 자서전 "인생 최대 실패는 이혼" (0) | 2025.02.04 |
위너 아닌 킬러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