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CEO(최고경영자)보단 기술자, 책벌레(書呆子)보다는 괴짜.” 세계 인공지능(AI) 산업 판도에 충격을 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의 창업자 량원펑(梁文鋒)에 대해 묻자 중국 기술 업계 종사자들이 본지에 전해온 평가다. 40세인 그는 미국 등 서방국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② 춘제(음력설) 연휴에 딥시크가 주목받으며 엔비디아 등 미국 기술주가 폭락하는 등 혼란이 일었는데 그는 고향인 광둥성으로 돌아가 머물고 있다고 알려졌다. 1985년 광둥성 잔장(湛江)시에서 태어난 량원펑은 유학파가 아닌 중국의 ‘토종’ 기술 인재다.
③ 2021년 관리 자산 규모가 1000억위안(약 20조원)이 넘는 등 성공한 회사로 입지를 다졌지만, 2023년 중국 지도부가 투기성 금융 거래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자 전공을 살려 ‘생성형 AI 모델’ 개발 사업에 뛰어들었다. 중국 지도부의 ‘입맛’을 잘 파악한 업종 변경이었다.
④ 특히 ‘지적 탐구’를 중시하면서 AI 모델의 언어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문학적 배경을 가진 인재들도 적극적으로 영입했다. 딥시크가 글로 써서 보여주는 추론 과정이나 최종 답변이 상당히 매끄럽고 다소 친근하게 느껴질 정도로 수다스러운 이유가 여기 있다고 보는 전문가들도 있다.
⑤ 량원펑에 대해 한 중국 기술 업계 인사는 “속은 마윈(하고 싶은 말 다 하는 알리바바 창업자), 겉은 마화텅(절제 전략을 쓰는 텐센트 창업자)”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지난해 7월 중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중국과 미국의 AI 기술 격차는 1~2년이라 하지만, 실제로는 ‘창조(미국)’와 ‘모방(중국)’이라는 격차를 중국이 넘어야 한다”면서 “기업들이 협업하는 기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중국에도 선구자가 필요하다”고 했다.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석열, 1호 국정브리핑 했던 '대왕고래' 결과는... (1) | 2025.02.08 |
---|---|
계엄 군수뇌부 조직적 증거인멸 의혹 (0) | 2025.02.08 |
쇼츠 중간에 19금 광고 (1) | 2025.02.08 |
2030 남성은 왜 민주당에 등 돌리나 (1) | 2025.02.08 |
머스크 월권 논란에, 트럼프 "모두 내가 승인" (0)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