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① 이렇게 유럽에서 자본주의가 등장하던 시기, 중국에서는 ‘자본주의 없는 시장’이 최고조로 발달했다. 15세기에서 16세기로 넘어가던 시기에 중국의 시장경제 발전은 상당한 수준이었다.
② 왜 중국은 혁명적인 수준의 시장경제 발전을 겪고도 자본주의로 나아가지 못했을까. 독일의 사회과학자 막스 베버의 분석에서 힌트를 찾을 수 있다. 베버는 자본주의가 유럽 전반에 확산한 이유를 ‘윤리’와 ‘정신’으로 설명했다. 자본주의가 등장하려면 전통적 상업 관념을 타파해 나갈 ‘자본주의 정신’이 형성돼야 한다.
③ 하지만 채근담에 비춰 보면 중국의 상인 윤리가 기존의 사회·경제 질서를 재편하거나 뒤흔들 만한 것은 아니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채근담에도 근면과 검약은 중요한 윤리로 제시되지만 이른바 ‘군자의 몸가짐’을 지키는 덕목일 뿐 부의 축적을 낳는 가치는 아니었다.
④ 오히려 부를 축적하려는 시도는 사사로운 이익을 꾀하는 도구로 여겨졌다.
⑤ 상인들의 재력과 영향력이 커진 것은 맞지만 이전 시대와 구별될 만큼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했다. 부의 축적에 대한 관념 역시 근본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 중국이 획기적인 시장 경제 발전을 겪고도 자본주의 체제로 나아가지 못한 이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