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https://blog.kakaocdn.net/dn/E8VEI/btsICeusunj/6zoQqKW1JUwnKC3IdbIQR0/img.jpg)
① 소통을 연구한 미국 베스트셀러 작가 찰스 두히그에 따르면 이 질문은 역효과를 부를 뿐이다. 두히그는 국내에서도 화제였던 『습관의 힘』에 이어 이번엔『대화의 힘』(갤리온)이라는 신간으로 돌아왔다.
② "지금 사는 동네의 어떤 점이 좋으세요?" "고등학생에게 어떤 조언을 해주고 싶으신가요?"가 좋다고 한다. 호구조사의 느낌이 아닌, 상대를 존중하는 마음으로 궁금함을 물어본다는 느낌을 주기 위해서다.
③ 그는 "대화를 할 수 있다는 건 인간이 가진 초능력"이라고 표현했다.
④ 인간을 인간으로 만드는 것은 소통 능력 덕분이다. 하지만 대화라는 것도 공부를 해야 한다.
⑤ 소통의 핵심은 말하는 상대의 마음을 잘 알아주는 것인데, 요즘 정치인들은 그 능력이 부족하다. 그래서 유권자들이 화가 나고 동요하는 것이다.
![](https://blog.kakaocdn.net/dn/vqVXW/btsIIzYyyMF/evEHgkCqRUM2oOEr6VuJnk/img.jpg)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