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챗GPT와 딥시크 시대에 고색창연한 ‘계몽’이 화두로 떴다. 탄핵 찬반과 무관하게 ‘계엄 덕분에 계몽됐다’는 고백이 잇따른다.
② 계몽(enlightenment)은 ‘어두운 것을 밝힌다’는 뜻이다. 전근대적 냄새를 풍기지만 예나 지금이나 계몽은 문명 진화의 동력이자 작동 원리다. 칸트가 ‘스스로 초래한 미성숙 상태에서 벗어나는 과정’이라고 정의한 대로다.
③ 18세기 계몽주의 시대를 거치며 인류는 인간 이성·과학에 기반한 지식 네트워크 구축에 성공했다. 유럽이 동아시아·이슬람 문명을 추월한 것도 이 무렵이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직전까지의 유럽 황금기 ‘벨 에포크’(아름다운 시절) 역시 계몽 축적의 결과다.
④ 독립협회가 최초의 ‘민중 계몽단체’로 출범한 때가 대한제국이 선포(1897년)되기도 전인 1896년이다. 당시 계몽된 민중은 황제권에 맞서 근대적 의회 설립에 나서는 등 구한말 정치·사회 질서를 업그레이드했다. 불과 두어 세대 만에 폐허에서 ‘주요 10개국(G10)’으로 압축 성장한 것도 안팎의 정세와 나라의 앞날을 살핀 지도자들의 각성 및 계몽 덕이었다.
⑤ 계몽을 가장 심도 있게 파고든 20세기 연구자는 독일 철학·사회학자 하버마스다. 그는 진정한 민주사회는 계몽으로만 달성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계몽이 늘 좋은 결과를 낳지는 않는다고 우려했다. 인간 이성 이면의 폭력성이 발현되면 계몽이 외려 억압 기제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실제 역사 속 계몽은 전체주의 도구로 빈번하게 악용됐다. 히틀러 심복 괴벨스의 직책이 다름 아닌 국민계몽선전부 장관이었다.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스크 월권 논란에, 트럼프 "모두 내가 승인" (0) | 2025.02.07 |
---|---|
AI 데이터센터로 부활한 오러클 (0) | 2025.02.07 |
탄핵 뇌관된 내란죄 철회 문제?! (0) | 2025.02.07 |
윤석열, 총 쏴서라도 끌어내라 (0) | 2025.02.07 |
공산당의 '오픈소스' 전략? (1) | 2025.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