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① 12·3 비상계엄 사태 당일 접속량이 폭증하며 ‘먹통’이 됐던 업비트, 빗썸 등 가상자산거래소가 투자자들에게 전산장애 관련 역대 최대 배상 금액인 약 35억 원을 배상하게 됐다. 금융당국은 거래소들의 서버 증설 등 개선계획 이행과 민원 대응을 살펴보기 위해 현장 점검에도 나섰다.
② 22일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가상자산거래소 5곳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는 계엄일 전산장애 관련 596건에 31억4459만8156원을, 빗썸은 124건에 3억7753만3687원을 배상하기로 했다. 업비트와 빗썸은 해당 거래소에 민원을 신고한 투자자와 배상 협의를 마무리 중인 단계로 협의가 완료되면 배상액은 소폭 늘어날 수 있다.
③ 지난해 12월 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하자 밤사이 비트코인 가격은 1억3000만 원에서 한때 8800만 원까지 급락했다. 이에 각 거래소에 동시 접속자가 늘어나면서 접속과 매매거래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았다.
④ 업비트의 평소 동시 접속자 수는 10만 명 수준인데, 비상계엄 이후 동시 접속자 수가 110만 명 이상 몰렸던 것으로 파악됐다. 빗썸과 코인원에도 각각 50만 명 이상의 접속자가 쏠렸다. 이 탓에 업비트는 99분, 빗썸은 62분, 코인원은 40분 동안 장애가 일어났다.
⑤ 시장에서는 가상자산 시장이 급격히 확대됐지만 거래소들의 인프라나 역량은 거래량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산장애뿐만 아니라 관리 부실 문제도 불거졌다.
728x90
반응형
'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발적 불편을 즐겨라 (1) | 2025.02.01 |
---|---|
대통령실 국방부 이전이 신호였다 (0) | 2025.02.01 |
투기자산으로 눈총받던 비트코인, 이제 금의 경쟁자로 (0) | 2025.02.01 |
계엄 사태에 6.3조 경제손실 (0) | 2025.01.31 |
한강다리 전망카페 4곳 새단장 (1)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