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① 인스타 앱의 ‘돋보기’ 칸을 보면 사용자의 취향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인공지능(AI) 추천 알고리즘이 사용자가 평소 자주 본 게시물과 유사한 사진과 영상을 추천하기 때문이다.
② “SNS 알고리즘을 보는 게 유행이라고 들어서 재미 삼아 시도해봤다”며 “알고리즘을 맹신하지는 않지만 깨는 요소가 있는지 등 ‘꽝’ 걸러내기 용도로는 쓸만한 것 같다”
③ “소개팅에서는 당연히 상대방의 관심사가 궁금하다. 그런데 말은 꾸며낼 수 있다. 오래전 유행한 혈액형은 물론이고 MBTI 역시 부정확하다. 그에 비해 SNS 알고리즘은 왜곡 가능성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생겨난 현상 같다”
④ 갈등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주기적으로 ‘알고리즘 세탁’을 하는 일도 자주 벌어진다. 문제가 될 만한 유튜브 채널 구독을 취소하거나 인스타그램 돋보기 화면을 번듯하게 만드는 것이다.
⑤ “최근 젠더 이슈로 갈등도 많고 교제 관련 사건·사고도 잦다 보니 이성 관계에서 불신과 불안이 커진 상황이다. 확실한 조건을 보고 불안을 통제하고 감소시키려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꼭 맞는 상대를 찾는 것만큼이나 중요한 건 관계를 유지하고 지속하려는 노력” 이라고 조언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