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난의 5줄 기사 요약

이성적 과열인가, 비이성적 거품인가

에도가와 코난 2025. 2. 23. 00:08
728x90
반응형

 

① 미국 증시가 한창 호황이던 1996년 12월 5일, 앨런 그린스펀 당시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증시가 ‘비이성적 과열’을 향해가고 있다고 말해 파장을 일으켰다. 그의 경고에도 S&P500은 그 이후 3년간 2배나 올랐고 나스닥 지수는 4배 가까이 치솟았다. 2000년 3월을 고점으로 나스닥은 2년에 걸쳐 80% 넘게 폭락했다. 그 유명한 닷컴 버블 이야기다. 


② 특히 IT 업종 PER(28.4배)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의 PER(28배) 역시 2000년 초의 56배, 109배에 비할 바 아니다. 또 주도주인 엔비디아와 애플의 12개월 예상 이익 기준 PER(30배 내외)을 거품이라 단정하긴 어렵다.

③ 하지만 복병은 늘 보이지 않는 곳에 숨어 있다. 최근 가성비 높은 AI를 내놓은 중국의 딥시크 같은 새 변수가 튀어나오는가 하면, 그 좋던 미국경제도 임금상승이 주춤하고 고용의 질이 악화하고 있다. 

엔비디아를 비롯한 메가테크 기업(일명 M7)의 시장 시가총액 비중이 전체 증시의 30%를 넘어서면서 시장 쏠림 현상이 우려된다. 아울러 미 증시의 전체 시가총액이 GDP의 200%를 상회하는 점도 부담이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가장 확실한 거품의 징후는 이들 복잡하고 과학적인 기준보다 시장 심리에서 찾아야 한다. 월가의 살아 있는 전설, 존 템플턴이 남긴 명언대로 증시가 도취감 내지 행복감에 본격적으로 빠져들면 이를 위험 신호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강세장은 예외 없이 대중의 도취감 속에 막을 내렸다. 

728x90
반응형